컴퓨터게임산업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가 기술개발지원 인력양성
정보제공등의 기능을 갖춘 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함께 정보통신부 문화체육부 통상산업부 내무부등으로 나눠진 게임
관련업무를 정통부가 종합관장하고 조세및 금융지원을 확대해야한다는 의
견이 제시됐다.

정통부 첨단게임산업기술정책기획연구단은 9일 서울 통신기술협회에서
첨단게임산업기술 정책기획연구(연구책임자 김하진아주대교수) 발표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연구단은 전국 게임제작업체 1백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51%가 종합지원센터의 설립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다고 덧붙였다.

연구단은 이 보고서를 통해 종합지원센터가 컴퓨터게임관련 핵심기술연
구개발,전문인력의양성,중소기업 육성,컴퓨터게임산업에 대한 사회의 부
정적 인식불식과 건전한 게임육성을 위한 홍보활동등에 나서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이센터가 정부와 산학연의 전문가,게임동아리 소비자를 연계,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게임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도록 육성하는 방안을 내놓
았다.

이를위해 이 센터가 게임 연구개발에 필요한 각종 도구를 제공하고 공통
애로기술을 지원하는 한편 대학에 게임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과정을 개설
할 것으로 제시했다.

연구단은 또 컴퓨터게임에 관련된 업계단체와 심의제도를 통합하고 음반
및 비디오에관한 법률 공중위생법등을 개정,컴퓨터게임기의 보급과 컴퓨터
게임장의 대형화등을 촉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통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는6월말까지 컴퓨터게임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지원방안을 마련,내년부터 기술개발에 나서고 관련부처와
협의해 관련 법령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정건수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