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가 서비스 현장] 기업은행 '소기업 무역지원센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역업무에 관한 것이면 뭐든지 도와드립니다"
무역업을 하는 중소기업체 사장들은 처음 외국 바이어로부터 영문팩스를
받고 당황한 적이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문제를 해결해주는 곳이 있다.
기업은행 본점4층에 설치 운영중인 "소기업 무역지원센터"는 무역업등록
서류를 작성, 무역업허가를 주선해주고 수출입승인서를 작성하는 등
무역업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대신해준다.
기업은행은 처음으로 무역을 시작하는 중소기업자등 전문지식이 부족한
영세 소기업자들에게 무역업무와 관련된 제반 불편사항을 덜어주고자
고객서비스차원에서 설치했다고 설명한다.
때문에 간단한 서식이나 양식들을 무료로 제공하며 이용대상에는 자격
제한이 없다.
이 센터를 통해선 우선 <>무역업등록 서류작성 <>수출승인서 소요량증명서
NEGO(수출환어음 매입)서류작성및 수출통관 주선 <>수입승인서 수입신용장
발행신청서 작성대행등의 서비스를 받을수 있다.
이밖에 <>무역금융및 외상 수출입거래시 이용가능한 국제팩토링상담
<>관세환급 신청서류 작성대행 <>각종 영문서식 작성 번역대행 <>해외송금
해외투자관련 업무지원 <>기타 부대업무및 무역상담 은행거래 상담 등의
업무지원도 이뤄진다.
즉 외국 바이어로부터 일단 오더만 받으면 무역업등록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무역업무를 일괄 지원해주는 것이다.
본인이 원할 경우엔 거래하고자 하는 지점도 선정, 무역금융 등의 각종
금융지원 혜택도 받을수 있다.
은행측은 지난90년말 개설된후 이제까지 무역지원센터를 거쳐 무역업
등록을 한 중소기업체가 770여개에 이르며 중견무역업체로 성장한 업체만도
50여개가 넘는다고 설명했다.
이용실적은 무역업허가주선 102건, 수출입업무지원 450건, 기타 영문서식
작성대행.
번역 200여건(4월말현재) 등으로 이용기업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고
은행측은 덧붙였다.
특히 신규로 무역업허가를 취득하고자 하는 영세소기업들의 문의가 많다고
관계자는 말했다.
소기업 무역지원센터를 이용하려면 전화 (02)729-7202~3이나 팩스 (02)729
-7207로 문의하면 된다.
직접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한 상담도 가능하다.
< 이성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3일자).
무역업을 하는 중소기업체 사장들은 처음 외국 바이어로부터 영문팩스를
받고 당황한 적이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문제를 해결해주는 곳이 있다.
기업은행 본점4층에 설치 운영중인 "소기업 무역지원센터"는 무역업등록
서류를 작성, 무역업허가를 주선해주고 수출입승인서를 작성하는 등
무역업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대신해준다.
기업은행은 처음으로 무역을 시작하는 중소기업자등 전문지식이 부족한
영세 소기업자들에게 무역업무와 관련된 제반 불편사항을 덜어주고자
고객서비스차원에서 설치했다고 설명한다.
때문에 간단한 서식이나 양식들을 무료로 제공하며 이용대상에는 자격
제한이 없다.
이 센터를 통해선 우선 <>무역업등록 서류작성 <>수출승인서 소요량증명서
NEGO(수출환어음 매입)서류작성및 수출통관 주선 <>수입승인서 수입신용장
발행신청서 작성대행등의 서비스를 받을수 있다.
이밖에 <>무역금융및 외상 수출입거래시 이용가능한 국제팩토링상담
<>관세환급 신청서류 작성대행 <>각종 영문서식 작성 번역대행 <>해외송금
해외투자관련 업무지원 <>기타 부대업무및 무역상담 은행거래 상담 등의
업무지원도 이뤄진다.
즉 외국 바이어로부터 일단 오더만 받으면 무역업등록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무역업무를 일괄 지원해주는 것이다.
본인이 원할 경우엔 거래하고자 하는 지점도 선정, 무역금융 등의 각종
금융지원 혜택도 받을수 있다.
은행측은 지난90년말 개설된후 이제까지 무역지원센터를 거쳐 무역업
등록을 한 중소기업체가 770여개에 이르며 중견무역업체로 성장한 업체만도
50여개가 넘는다고 설명했다.
이용실적은 무역업허가주선 102건, 수출입업무지원 450건, 기타 영문서식
작성대행.
번역 200여건(4월말현재) 등으로 이용기업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고
은행측은 덧붙였다.
특히 신규로 무역업허가를 취득하고자 하는 영세소기업들의 문의가 많다고
관계자는 말했다.
소기업 무역지원센터를 이용하려면 전화 (02)729-7202~3이나 팩스 (02)729
-7207로 문의하면 된다.
직접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한 상담도 가능하다.
< 이성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