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은행은 이번 우성건설그룹인수를 마무리 지음으로써 4,300여억원에
달하는 부실여신을 정상화시키게 됐다.

지난해 유원건설을 한보그룹에 인수시켜 역시 4,282억원의 부실여신부담을
덜어낸데 이어 두 번째로 대형부실여신을 막게 됐다.

제일은행으로서는 "떼일뻔한" 8,600여억원의 여신을 막아 큰 고비를
넘기게 된 셈이다.

인수기업에 이자유예 우대금리적용 등의 금융지원을 줌으로써 제일은행이
지게 되는 자금부담은 별로 크지 않을 전망이다.

95년말 현재 우성건설에 대한 여신 2,321억원중 순수대출금 502억원에
대해 각종 우대조치를 취함에 따라 줄게되는 이자수입은 연간 50억원에도
못미친다.

우성건설그룹에 대한 대출금을 합해도 줄어드는 수입이 100억원이
채안된다는 게 제일은행측의 설명이다.

대규모 부실여신을 정상화시킴에 따라 제일은행은 대외적인 이미지제고에도
많은 도움을 받을 전망이다.

제일은행은 그동안 잇따른 거래기업의 부도로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신인도가
하락, 해외자금 조달시에 다른 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받아왔다.

또 자기자본비율 개선을 위해 추진주인 후순위채 발행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대외적인 신용실추에 따라 초래됐던 이같은 어려움들이 우성에 대한 제3자
인수작업을 끝냈으므로써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신분야에서의 부실요인을 제외하면 제일은행은 올들어 영업분야에서
호조세를 보여왔다.

지난 1.4분기중 업무이익이 805억원으로 5대시중은행중 조흥은행 다음으로
많았다.

그러나 당초 예상보다 규모가 적고 건설업 경영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기업이 우성건설그룹을 인수하게 됨에 따라 제일은행의 부담이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만약 우성건설그룹의 경영정상화에 차질이 빚어진다면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의 부담은 이전보다 증가할 수밖에 없다.

제일은행이 과거의 경영능력이 어떻게 발휘되느냐에 달려있게 되는 셈이다.

제일은행은 또 차기행장선출이라는 난제도 남겨놓고 있다.

행장대행인 신광식전무가 차기행장을 맡아야 한다는게 은행내부의 중론
이지만 이철수행장과의 공동책임론도 없지 않다.

차기행장선임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 김성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