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허귀식기자]한.미양국은 14일 4자회담제의 배경과 회담성격을
설명하기 위해 양국이 공동주최하고 북한이 참여하는 4자회담설명회를
북한에 제의키로 했다.

한.미.일 3국은 이날 제주에서 이틀간의 고위정책협의회를 마치고
4자회담이 한.미양국정상에 의해 공동제의된만큼 공동구상으로 추진돼야
하며 이를 위해 북한이 미측에 요구한 4자회담설명회에는 미국뿐만아니라
한국도 참여해야 한다는데 합의했다.

정부당국자는 "한.미양국과 북한이 참여하는 4자회담설명회는 과장급보다
높은 실무자가 참석하는 예비실무접촉 성격이다"며 "그러나 4자회담의
의제 장소 등을 본격 협의하는 예비회담은 아니다"고 밝혔다.
한.미양국은 조만간 공동으로 설명회를 북측에 제의할 방침이다.

3국은 또 공동언론발표문을 통해 북한이 조속히 4자회담제의를
조건없이 수락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북한의 4자회담수용을 유도하기
위해 긴밀히 협조키로 했다.

이와관련,3국은 4자회담이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대북식량지원과 관련,3국은 소규모이든 대규모이든 정부차원의
지원계획이 전혀 없음을 확인하고 북한이 4자회담에 호응해올 경우
전반적인 긴장완화조치논의과정에서 토의할 수 있다는데 의견이
일치했다.

3국은 또 경제제재완화 등 4자회담유인책에 대해서도 4자회담이
전제조건없이 제의된 점을 들어 고려하지 않기로 했다.

미국은 대북식량지원문제가 재론되더라도 한국과 일본,특히 한국이
이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앞으로 북한과의 접촉시 4자회담과 남북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번 협의회에는 우리측에서 정태익외무1차관보,미국측에서 윈스톤
로드국무부동아태차관보,일본측에서는 야나이순지(유정준이)외무성심의관을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