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kv급 디지털 보호계전기 "국산화" .. 국내 최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압송전선로의 보호에 필수적인 장비이면서도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해온 1백54kv급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국내최초로 개발됐다.
자동제어시스템전문업체인 기인시스템(대표 이기원)은 1백54kv급이상의
고압송전선로에서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고장시 송전선로를 차단, 설비를
보호하고 인명피해를 막는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선도전기 일진전기
태광 등과 공동개발했다.
한국전력이 개발자금을 지원한 생산기술개발과제로 3년간 8억원의
연구비가 투입된 이 제품은 고속의 보호계전연산처리능력과 함께 다양한
전력고장상황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각종 보호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한전에서는 그간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일본도시바, 미쓰비시, 미국 GE,
ABB사 등 세계유명 중전기기메이커에서 수입해왔다.
이에 따라 한전에서 현재 최종심의평가중인 이 제품이 채택되면
연간 2백억원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제품은 디지털 신호처리전용의 DSP프로세스를 채택, 고속의 실시간
연산이 가능하며 각종 오동작 방지용 로직을 내장해 신뢰성을 높였다.
이사장은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외국시스템의 장단점을 충분히
비교분석, 한전의 실정에 맞도록 개발했다"면서 "전력시스템분야의
각종 첨단기능이 내장됐다"고 밝혔다.
<신재섭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5일자).
의존해온 1백54kv급 디지털 보호계전기가 국내최초로 개발됐다.
자동제어시스템전문업체인 기인시스템(대표 이기원)은 1백54kv급이상의
고압송전선로에서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고장시 송전선로를 차단, 설비를
보호하고 인명피해를 막는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선도전기 일진전기
태광 등과 공동개발했다.
한국전력이 개발자금을 지원한 생산기술개발과제로 3년간 8억원의
연구비가 투입된 이 제품은 고속의 보호계전연산처리능력과 함께 다양한
전력고장상황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각종 보호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한전에서는 그간 디지털 보호계전기를 일본도시바, 미쓰비시, 미국 GE,
ABB사 등 세계유명 중전기기메이커에서 수입해왔다.
이에 따라 한전에서 현재 최종심의평가중인 이 제품이 채택되면
연간 2백억원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제품은 디지털 신호처리전용의 DSP프로세스를 채택, 고속의 실시간
연산이 가능하며 각종 오동작 방지용 로직을 내장해 신뢰성을 높였다.
이사장은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외국시스템의 장단점을 충분히
비교분석, 한전의 실정에 맞도록 개발했다"면서 "전력시스템분야의
각종 첨단기능이 내장됐다"고 밝혔다.
<신재섭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