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발표회] '선물거래 도입 효과' .. 주제발표 <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한국선물학회와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는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18일 오후2시부터 5시까지 한국은행 강당에서 "우리나라 시장가격
구조특성과 선물거래 도입효과"라는 주제로 학술발표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통화 금리 상품선물시장
도입의 타당성 진단과 함께 경제의 효율적인 운영과 발전등에 관해
깊이있는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일부 참가자들의 주제발표 원고를 요약정리한다.
<< 주제발표 내용 >>
<>KOSP1 200 선물지수의 위험도 측정기법 (김명직 한양대교수,
장국현 광주대교수) <>한국외환시장의 변동성과 통화선물거래 도입
(민상기 서울대교수) <>우리나라 금리특성과 금리선물거래 도입효과
(윤창현 명지대교수) <>상품옵션에 대한 GRACH 가격모형과 BLACK 가격모형
비교연구(강태훈 LG증권 선물옵션팀차장) <>상물선물거래의 유용성과
한계성(이경원 대진대교수) <>원유선물시장과 현물시장의 동태적 통합및
효율성(박주호 서울여대교수)
=======================================================================
[[ 통화선물거래 도입 ]]
민상기 < 서울대학교 교수 >
98년초에 개설될 선물거래소의 상장품목중 하나로서 통화선물의 도입
여건을 검토해 보면 현물환시장의 규모, 현물환율의 변동성, 현물환율
형성과정의 효율성 등의 면에서 원화와 달러화간의 통화선물 도입여건이
성숙되었다고 할수 없다.
한편 이미 오래전에 도입됐으며 통화선물의 성공을 가늠할수 있는 원화와
달러간의 선물환거래는 이직까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는 현물환시장의 규모가 적고 원화와 달러간의 환율변동성이 작은데
따른 것이다.
또 외환시장과 금융시장에서 거래가 자유롭지않아 선물환율을 결정짓는
두가지 요인인 기대환율변동폭과 내외금리차사이에 괴리가 크기 때문이다.
통화선물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향후 2년간의 주요 과제는 외환브로커
제도의 도입, 외환시장참여자에 대한 포지션관리 완화, 실질실효환율중심의
원화환율관리, 해외자금유입의 압력약화, 거주인의 해외투자 촉진 등이다.
이러한 과제들은 단순히 통화선물의 도입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나라
금융시장이 세계의 금융시장과 조화를 이루어 우리나라 실물산업및 금융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8일자).
한국선물학회와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는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18일 오후2시부터 5시까지 한국은행 강당에서 "우리나라 시장가격
구조특성과 선물거래 도입효과"라는 주제로 학술발표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이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통화 금리 상품선물시장
도입의 타당성 진단과 함께 경제의 효율적인 운영과 발전등에 관해
깊이있는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일부 참가자들의 주제발표 원고를 요약정리한다.
<< 주제발표 내용 >>
<>KOSP1 200 선물지수의 위험도 측정기법 (김명직 한양대교수,
장국현 광주대교수) <>한국외환시장의 변동성과 통화선물거래 도입
(민상기 서울대교수) <>우리나라 금리특성과 금리선물거래 도입효과
(윤창현 명지대교수) <>상품옵션에 대한 GRACH 가격모형과 BLACK 가격모형
비교연구(강태훈 LG증권 선물옵션팀차장) <>상물선물거래의 유용성과
한계성(이경원 대진대교수) <>원유선물시장과 현물시장의 동태적 통합및
효율성(박주호 서울여대교수)
=======================================================================
[[ 통화선물거래 도입 ]]
민상기 < 서울대학교 교수 >
98년초에 개설될 선물거래소의 상장품목중 하나로서 통화선물의 도입
여건을 검토해 보면 현물환시장의 규모, 현물환율의 변동성, 현물환율
형성과정의 효율성 등의 면에서 원화와 달러화간의 통화선물 도입여건이
성숙되었다고 할수 없다.
한편 이미 오래전에 도입됐으며 통화선물의 성공을 가늠할수 있는 원화와
달러간의 선물환거래는 이직까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는 현물환시장의 규모가 적고 원화와 달러간의 환율변동성이 작은데
따른 것이다.
또 외환시장과 금융시장에서 거래가 자유롭지않아 선물환율을 결정짓는
두가지 요인인 기대환율변동폭과 내외금리차사이에 괴리가 크기 때문이다.
통화선물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향후 2년간의 주요 과제는 외환브로커
제도의 도입, 외환시장참여자에 대한 포지션관리 완화, 실질실효환율중심의
원화환율관리, 해외자금유입의 압력약화, 거주인의 해외투자 촉진 등이다.
이러한 과제들은 단순히 통화선물의 도입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나라
금융시장이 세계의 금융시장과 조화를 이루어 우리나라 실물산업및 금융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