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전문기관 업무영역 통합] 리스사 "침통"..기관별 반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신전문금융기관을 하나의 법테두리로 묶는데 대해 해당금융회사의 반응은
금융권별로 다르다.
희비가 엇갈린 표정이다.
리스사들의 분위기는 침통하기 짝이 없다.
반면 할부금융사는 미소를 짓고 있고 카드사와 신기술금융사는 덤덤한
표정이다.
이번 개편방안에 대해 가장 위기감을 느끼는 곳은 리스업계.
리스의 주고객은 설비투자를 하는 대기업과 대기업의 거래기업인 중견
기업들.
앞으로 할부금융사에 리스가 허용되면 계열그룹에 속한 할부금융사가 자기
그룹사의 물건들을 모두 독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더군다나 소매영업을 하던 회사는 도매영업을 할수 있어도 도매영업을
하던 회사는 소매영업을 하기 어렵다는 점때문에 리스업계의 고민은 더욱
크다.
리스사 직원들의 임금수준이 금융권 최고수준인데 이처럼 많은 임금을
주고 이문이 박한 카드할부등 소매금융영업을 하기도 쉽지 않다.
우선 한국의 리스산업을 세계 4위의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개발연대를
거치며 기업설비투자의 30%이상을 리스로 조달했다는 치적을 높이 사달라는
것이다.
그래서 리스사들은 이번조치를 "토사구팽"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리스사들의 이런 위기의식과는 달리 할부금융사는 희희낙락이다.
현재 마땅한 상품이 없어 어음할인등 팩토링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이들은 리스나 기타 다른 소비자금융이 허용될 경우 활로가 보장된다고
보고 있다.
카드사와 신기술금융회사는 자신들이 맡고 있는 분야가 다소 독특한 측면이
있어 신경은 좀 쓰여도 존폐를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신용카드의 경우 이미 시장이 과포화상태에 있어 허가를 내주어도 신규
진입하려는 금융회사가 별로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 카드사는 현재 6개월이상연체금액이 1조원에 육박하는등 부실이
적잖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래서 시티은행 홍콩샹하이은행등도 한국의 신용카드업 진출을 포기한
상태다.
카드사는 또 카드업무가 손이 많이가는 소매업무라 인력을 추가 투입할만한
여신전문금융기관이 별로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기술금융회사는 그동안 법률적으로 고유한 영역을 보호받고 있어 아직은
관망중이다.
한편 이번 개편대상에서 직접 언급안된 팩토링사와 창투사도 개편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상법상의 회사로 방치된 팩토링사들은 차라리 이번기회에 업무범위등을
법에 명문화시키되 규제는 느슨히 해달라는 입장이다.
<안상욱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25일자).
금융권별로 다르다.
희비가 엇갈린 표정이다.
리스사들의 분위기는 침통하기 짝이 없다.
반면 할부금융사는 미소를 짓고 있고 카드사와 신기술금융사는 덤덤한
표정이다.
이번 개편방안에 대해 가장 위기감을 느끼는 곳은 리스업계.
리스의 주고객은 설비투자를 하는 대기업과 대기업의 거래기업인 중견
기업들.
앞으로 할부금융사에 리스가 허용되면 계열그룹에 속한 할부금융사가 자기
그룹사의 물건들을 모두 독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더군다나 소매영업을 하던 회사는 도매영업을 할수 있어도 도매영업을
하던 회사는 소매영업을 하기 어렵다는 점때문에 리스업계의 고민은 더욱
크다.
리스사 직원들의 임금수준이 금융권 최고수준인데 이처럼 많은 임금을
주고 이문이 박한 카드할부등 소매금융영업을 하기도 쉽지 않다.
우선 한국의 리스산업을 세계 4위의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개발연대를
거치며 기업설비투자의 30%이상을 리스로 조달했다는 치적을 높이 사달라는
것이다.
그래서 리스사들은 이번조치를 "토사구팽"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리스사들의 이런 위기의식과는 달리 할부금융사는 희희낙락이다.
현재 마땅한 상품이 없어 어음할인등 팩토링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이들은 리스나 기타 다른 소비자금융이 허용될 경우 활로가 보장된다고
보고 있다.
카드사와 신기술금융회사는 자신들이 맡고 있는 분야가 다소 독특한 측면이
있어 신경은 좀 쓰여도 존폐를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
신용카드의 경우 이미 시장이 과포화상태에 있어 허가를 내주어도 신규
진입하려는 금융회사가 별로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 카드사는 현재 6개월이상연체금액이 1조원에 육박하는등 부실이
적잖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래서 시티은행 홍콩샹하이은행등도 한국의 신용카드업 진출을 포기한
상태다.
카드사는 또 카드업무가 손이 많이가는 소매업무라 인력을 추가 투입할만한
여신전문금융기관이 별로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기술금융회사는 그동안 법률적으로 고유한 영역을 보호받고 있어 아직은
관망중이다.
한편 이번 개편대상에서 직접 언급안된 팩토링사와 창투사도 개편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상법상의 회사로 방치된 팩토링사들은 차라리 이번기회에 업무범위등을
법에 명문화시키되 규제는 느슨히 해달라는 입장이다.
<안상욱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