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부터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주거지역의 치매시설이나 요양원
에서 통신망을 통해 화상으로 전문의사의 진료를 받는 치매환자 원격진료
시범사업이 실시된다.

27일 보건복지부는 서울대병원 치매클리닉과 서울시립 북부노인종합
복지관, 인천영락원 등 3개 기관을 컴퓨터통신망으로 연결, 7월부터
치매환자 원격진료체계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미 이들 3개 기관과 한국통신, 한국치매협회 등과의
협의를 마치고하드웨어 설치작업과 간호사 등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또 정보통신부 초고속정보통신망구축기획단에서 6억4천만원을 지원받아
현재 진행중인 소프트웨어 개발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가동에 들어갈
방침이다.

원격진료체계가 가동되면 서울대병원 치매클리닉의 전문의료진이
컴퓨터 화상망을 통해 이들 요양기관의 수용 노인들을 관찰하며 묻는
방법으로 정기 또는 수시 진료하고 기관 소속 간호사에게 투약 및
치료지시를 내리게 된다.

북부노인복지관의 경우 하루 2백-3백명의 치매, 중풍 노인들을 낮시간
동안 맡아서 보호.치료해주고 있으며 오는 6월말 개원 예정인 인천
영락원은 2백명 규모의 치매전문 요양원이다.

복지부는 올해 연말까지 시범사업을 실시한뒤 그 성과 및 문제점을
분석,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전국의 치매요양기관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나갈 예정이다.

현재 전국의 치매전문 의료기관은 2개에 불과하며 복지부는 오는
2000년까지 6백12억원을 투입해 이를 16개로 늘려나가고, 2005년까지
2천6억원을 들여 을 치매전문 요양시설을 현재의 10개에서 1백70개로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복지부는 내년에 부지비를 포함해 총 2백억원의 에산을 들여
치매에 대한진단, 치료기법 개발과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간병요령,
전문인력양성 등을 맡을 치매종합연구소를 설립키로 하고 재경원과
협의중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