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전문인력이 부족한 직접적인 원인은 정보통신산업의 급성장에
따른 수급불균형에 기인한다.

시장이 확대되면서 사람은 더 많이 필요해졌으나 배출인력은
"거북이걸음"을 면치못하고 있는 때문이다.

국내정보통신시장(생산액기준)은 지난 90년 11조9천억원에서 지난해
38조6천억원(잠정치)으로 늘어 5년만에 3.2배로 늘었다.

그러나 이 기간중 정보통신인력공급규모(학사기준)는 겨우 41%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같은 현상은 국내 대학정원제도의 경직성 때문에 생겼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산업구조가 바뀜에 따라 정보통신분야 인력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대학이
이분야 증원등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또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진보는 기술인력의 "질적부족"을 낳았다.

대학의 교육내용이 산업의 기술발전 속도를 못따라가 배출인력이
제몫을 충분히 못한다는 지적이다.

이와함께 국내 기업의 기술개발 정책이 외국기술 도입에서 자체개발로
바뀜에 따라 고급인력의 부족현상을 더욱 심화시킨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연구개발에 필요한 석박사급 인력은 이미 80년후반부터 절대부족의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이같은 분석에 근거해 처방을 마련하고 있다.

공급을 늘리고 질을 높이는 것이 골자다.

정통부가 현재 마련중인 인력수급난 해소방안은 크게 두가지다.

단기적으로 정보통신 특화대학원 설립지원등 기존 대학의 정보통신
인력공급능력 확대를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고 장기대책으로는
정보통신전문대학원 설립을 구상하고 있다.

이방안은 내달중 확정예정인 정보화추진기본계획에 포함시킬 계획이다.

기존대학 지원은 기본적으로 정보통신 전문인력을 효율적으로 양성할수
있는 다양한 모델을 만드는 형태로 추진할 방침이다.

정보통신특화 대학원을 만들어 기업이 필요로하는 인력을 양성하거나
1년정도의 단기집중학위코스를 만드는것등을 고려하고 있다.

정통부가 오는 99년께 설립예정인 정보통신전문대학원은 석사급 이상의
연구개발 전문인력과 정보통신에 정통한 마케팅및 경영전문가 양성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위해 정통부는 한국통신등 기간통신사업자와 전자통신연구소
통신개발연구원등의 연구기관과 협력해 단설대학원 형태로 설립할
계획이다.

이 대학원은 매년 기술분야에서 석사 1백명(야간대학원 포함시
2백명) 박사 25명, 경영분야 석사 50명의 전문인력을 배출한다는
구상이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한 방법도 검토중이다.

기술인력이 중소기업에 가도 연구개발할 방법을 몰라 제기능을 못하는
현실을 감안, 이들에게 연구개발하는 방법을 가르키자는 것이다.

이를위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인력을 전자통신연구소 같은 연구기관에
6개월이나 1년동안 직무연수를 보내 연구개발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정부의 노력만으로 인력난 해결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인력양성을 담당하는 학계의 협조가 절실하다는 것이다.

"대학의 정원을 자율화한다 하더라도 산업계가 필요한 분야에 정원이
집중적으로 늘어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학계의 균형발전논리에 특정학과를 폐지하거나 특정학과 정원을
집중적으로 늘리는게 쉽지 않습니다" 정통부 김창곤기술심의관은
학계의 풍토변화가 아쉽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산업계에서도 기존 인력의 재교육등을 통해 필요인력을
자체적으로 양성,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정건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5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