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적자 80억달러 육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역적자가 80억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31일 통상산업부는 이달들어 30일까지 수출은 통관기준으로 1백3억6천8백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1% 늘어난데 그친 반면 수입은 1백23억1천4백만달러
로 8.3% 증가, 무역적자는 19억4천6백만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로인해 올들어 30일까지 무역적자누계는 79억6천9백만달러로 전년동기대
비 12억1백만달러 늘어났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은 이날 발표한 "최근의 국제수지동향과 대응방향"자료
를 통해 최근 적자폭이 확대되는 것은 반도체 철강 조선등 일부 품목의 수출
부진에 원인이 있는 만큼 환율절하등 거시경제변수의 조정보다 중장기적인
수출구조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KDI는 또 한국경제가 연평균 7~8%수준의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어느정
도 경상수지적자폭의 확대가 불가피하다며 한국보다 먼저 자본자유화를 실시
한 동남아국가들도 GDP(국내총생산)대비 경상수지적자의 비율이 4~9% 수준으
로 한국(2%수준)보다 훨씬 높지만 80년대이후 지속적인 고성장을 보이고 있
다고 강조했다.
< 육동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일자).
31일 통상산업부는 이달들어 30일까지 수출은 통관기준으로 1백3억6천8백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1% 늘어난데 그친 반면 수입은 1백23억1천4백만달러
로 8.3% 증가, 무역적자는 19억4천6백만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로인해 올들어 30일까지 무역적자누계는 79억6천9백만달러로 전년동기대
비 12억1백만달러 늘어났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은 이날 발표한 "최근의 국제수지동향과 대응방향"자료
를 통해 최근 적자폭이 확대되는 것은 반도체 철강 조선등 일부 품목의 수출
부진에 원인이 있는 만큼 환율절하등 거시경제변수의 조정보다 중장기적인
수출구조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KDI는 또 한국경제가 연평균 7~8%수준의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어느정
도 경상수지적자폭의 확대가 불가피하다며 한국보다 먼저 자본자유화를 실시
한 동남아국가들도 GDP(국내총생산)대비 경상수지적자의 비율이 4~9% 수준으
로 한국(2%수준)보다 훨씬 높지만 80년대이후 지속적인 고성장을 보이고 있
다고 강조했다.
< 육동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