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동성 청계진 대구전용공단조성 경제성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대구=신경원기자 ]대구시가 적극 추진중인 중국 광동성 청계진 대구전
용공단 조성에 대해 업계가 경제성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어 난항이 예
상된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당초 대구시는 섬유업등 지역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는 업종을 이전하고 새로운 산업을 유치한다는 기본적인 계획아래 중국에
대구공단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는 이곳이 홍콩에 인접해 있어 물류와 간접자본은 한국에서 유리하
고 땅값이 싸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나 업계에서는 중국측이 투자금액의
25%에 달하는 투자세를 요구하는등 투자유인책이 없는데다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인건비도 크게 오르고 있다며 투자를 꺼리고 있다.
특히 기계 자동차부품업의 이전은 가뜩이나 산업구조가 취약한 상태에서
산업공동화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들어 이미 중국에 투자한 업체들도 다른 곳으로 이전
하려하고 있다"며 대구시의 이같은 방침이 상당한 무리하다는 입장을 나타
내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2일자).
용공단 조성에 대해 업계가 경제성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어 난항이 예
상된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당초 대구시는 섬유업등 지역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는 업종을 이전하고 새로운 산업을 유치한다는 기본적인 계획아래 중국에
대구공단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는 이곳이 홍콩에 인접해 있어 물류와 간접자본은 한국에서 유리하
고 땅값이 싸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나 업계에서는 중국측이 투자금액의
25%에 달하는 투자세를 요구하는등 투자유인책이 없는데다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인건비도 크게 오르고 있다며 투자를 꺼리고 있다.
특히 기계 자동차부품업의 이전은 가뜩이나 산업구조가 취약한 상태에서
산업공동화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들어 이미 중국에 투자한 업체들도 다른 곳으로 이전
하려하고 있다"며 대구시의 이같은 방침이 상당한 무리하다는 입장을 나타
내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