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은 우리나라 정보통신사를 놓고 볼때 각별한 의미를 갖는 달이다.

지난 67년 우리나라 행정전산화의 시발이라고 할수 있는 최초의 컴퓨터가
경제기획원에 설치된 것도 6월이었고 87년 한국전기통신 역사의 새 장을 연
전국전화 자동화가 완성된 것도 같은 달이었다.

정부가 지난 88년부터 매년 6월을 "정보문화의 달"로 정해 다채로운 행사를
벌여오고 있는 것도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과 무관하지 않으리라 믿어진다.

특히 올해 정보문화의 달은 재계의 판도를 바꿔놓게 될 30여 신국통신
사업자가 선정 발표되는 달이기도 하다.

때마침 지난 4일 한국전산원이 발표한 정보화백서는 한국의 정보화 수준이
94년 기준으로 미국의 12%, 유럽연합(EU)의 18%, 일본의 27%, 싱가포르의
27.8% 정도에 머물고 있으며 우리의 경쟁상대국인 대만보다도 뒤진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심한 격차는 국가사회의 정보화를 국경의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는
우리정부와 기업과 국민들이 정보화선진국 진압을 위해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가 얼마나 무거운지를 실감케 해준다.

첫째 사회전반의 정보화 마인드를 제고해 정보화의 궁극적 목표인 생활
정보화를 앞당겨야 할 것이다.

최근 우리사회의 정보화가 속도면에서는 선진국을 앞지르고 있다고는 하나
아직 전반적으로 정보화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편이다.

소득 지역 연령별로 기본적인 정보통신기기의 보우및 이용능력의 편차가
심하고 특히 멀티미다어 정보통신을 활용할수 있는 여건은 사당히 취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보문맹을 퇴치하고 생활정보화를 촉지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쉽게사용할 수 있는 저가의 국민형 단말기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
보급해야 한다.

둘째 정보통신 전문인력의 양성이 시급하다.

국내 정보산업의 급팽창에 따라 전문인력수요는 급증하고 있는데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오는 15일께 선정 발표될 30여 신주통신사업자들의 무더기 시장진출을
앞두고 업계는 벌써부터 전문인력 스카우트전쟁을 치르고 있다는 소식이다.

일부대학에 정보통신관련 학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배출인력의 양과
질에서 수요를 따라가기는 태부족이다.

특히 정보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고급기술인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전문대학원의 신.증설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정보화정책은 정확한 경제성 평가를 토대로 해야 하며 민간기업과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대폭적인 규제완화가 필요하다.

우리의 정보화사업은 정부주도로 추진되고 있는데다 경제성측면의 평가가
이뤄지지 않아 한계를 안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정보통신의 활용이 이미 정부기업및 가계활동의 큰 몫이 되고 있음을
감안할때 통신사업및 통신이용자들을 묶고 있는 각종 규제는 정부 기업및
가계의 생산성제고를 위해 과감히 풀어야 할 것이다.

사업자들이 새로운 사업영역에의 진입이나 투자 요금책정등에 있어 일일이
정부의 감독과 규제를 받아서는 경쟁력이 강화될수 없다.

정보화에도 시장원리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