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증시동향] 미국, 낙폭 과대 반발 소폭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일 미국 다우존스공업주 평균은 0.7% 상승하여 이틀간의 하락에서
벗어났다.
4월중 공장주문이 0.1% 줄어든 것으로 발표되면서 경기과열 우려가
다소 진정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리는 소폭하락에 그쳐 물가불안 우려는 여전히 커 보였다.
따라서 주가상승도 낙폭과다에 대한 반발정도로 해석되었다.
최근들어 높은 성장기대로 주가상승률이 높았던 PER(주가수익비율)이
높은 종목들은 하락세가 이어진 반면 반도체제조주처럼 PER이 낮은 종목들은
반등하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일본주식시장도 Nikkei 225지수가 1.2% 반등하면서 월요일의 하락세가
진정되었다.
그러나 하락폭이 컸던 투기주들이 상승을 주도하여 반등이상의 큰 의미는
없었다.
동남아주식시장은 홍콩과 말레이지아를 중심으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미국 채권시장이 여전히 불안한 상태여서 상승폭은 미약했고
거래도 한산했다.
미국금리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는 자산주들은 낙폭이 컸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6일자).
벗어났다.
4월중 공장주문이 0.1% 줄어든 것으로 발표되면서 경기과열 우려가
다소 진정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리는 소폭하락에 그쳐 물가불안 우려는 여전히 커 보였다.
따라서 주가상승도 낙폭과다에 대한 반발정도로 해석되었다.
최근들어 높은 성장기대로 주가상승률이 높았던 PER(주가수익비율)이
높은 종목들은 하락세가 이어진 반면 반도체제조주처럼 PER이 낮은 종목들은
반등하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일본주식시장도 Nikkei 225지수가 1.2% 반등하면서 월요일의 하락세가
진정되었다.
그러나 하락폭이 컸던 투기주들이 상승을 주도하여 반등이상의 큰 의미는
없었다.
동남아주식시장은 홍콩과 말레이지아를 중심으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미국 채권시장이 여전히 불안한 상태여서 상승폭은 미약했고
거래도 한산했다.
미국금리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는 자산주들은 낙폭이 컸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