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산업] 맥주시장에도 '메이저'있다..세계 맥주시장 현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맥주는 한국사람들만이 마시는 술은 아니다.
시베리아나 아프리카의 오지에서도 사람들은 맥주를 마신다.
맥주는 오늘날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있는 세계인의 술이다.
맥주는 시장이 크다.
세계인의 술로 자리를 굳혔으니 당연하다.
시장이 큰 만큼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이들도 많다.
세계적인 맥주회사도 있지만 거의 모든 나라에는 현지 맥주를 만드는
기업들이 경쟁을 벌이고있다.
이들은 서로간에 공격과 방어를 거듭하며 시장안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세계맥주시장은 오래전부터 3파전의 양상을 보여왔다.
미국의 안호이저 부시(AB)와 밀러, 네덜란드의 하이네켄은 명성과
실질적인 규모면에서 맥주시장의 3대 메이저로 불러도 손색이 없다.
최대회사는 버드와이저를 생산하는 안호이저 부시로 지난해에는
9백75만kl의 맥주를 출고한 것으로 잠정집계되고있다.
이는 1년전에 비해 1.2%가 줄어든것이다.
호황일때는 출고량 1천만 를 거뜬히 넘긴다.
미국내 시장점유율은 약 45%이다.
역시 미국기업인 밀러는 말보로담배로 유명한 필립모리스의 자회사이다.
작년 한햇동안 약 5백만kl의 맥주를 출고, 미국시장에서 23.2%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네덜란드의 하이네켄은 한해평균 6백만kl 가량을 출고한다.
이들 3대 메이저는 각각 세계시장에서 5-10% 사이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2-3년전부터는 세계시장공략을 위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있다.
하이네켄은 유럽회사이면서도 연간순익(평균 50억달러)의 50%정도를
유럽이외의 지역에서 벌어들인다.
이에비해 순익이 하이네켄보다 훨씬 많거나 비슷한 안호이저 부시와
밀러는 미국바깥에서 거둬들이는 순익비율이 약 4-5%씩으로 미미하다.
결국 미국회사들이 세계기업에 걸맞는 수준으로 국외수입을 늘리기위해
노력하면서 하이네켄과의 신경전에 한층 열기가 오른 셈이다.
안호이저 부시는 지난 93년 코로나맥주로 유명한 멕시코 최대회사
그루포 모델로의 지분(17.7%)을 매입한데 이어 중국 칭따로맥주에서도
5%의 지분을 가져갔다.
그리고 지난해에는 중국 무한에 있는 지방 맥주회사의 지분을 80%나
사들이는 "식욕"을 과시하기도 했다.
밀러도 필립모리스가 갖고있는 국제영업망을 이용, 무차별적으로
각국 맥주회사의 지분을 긁어모았다.
캐나다의 몰슨과 멕시코 펨의 주식을 사들인것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하이네켄은 역시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경쟁회사의 나라인 미국에서 "머피 아이리시 스타우트"라는 신제품을
내놓아 4천만달러의 광고비로 시장을 공략하고나서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
미국소비자들의 관심이 수입맥주 특수맥주(유명인들의 이름등을 붙여
이미지와 함께 판매하는 제품)등으로 옮겨가고있는 상황을 정확히 꿰뚫은
것이다.
또 유럽에서의 수성을 위해 체코의 필러스맥주를 비롯,
동구권맥주회사들과 합작하는 전략을 구사하고있다.
3대 메이저회사가 널리 알려져있지만 덩치만 크다고 좋은 회사는
아니다.
맥주의 맛에 관한한 독일회사들은 "박사학위"소지자라고 할수있다.
독일에는 맥주회사만도 1천2백개사가 있고 헤아릴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제품들이 생산된다.
지난 94년의 경우 1천2백만 를 생산,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3위를
기록했다.
독일의 맥주산업은 내수위주여서 수입물량이 전체 소비량의 2%에
지나지않고 수출도 생산량의 6%정도에 머무르고있다.
뮌헨은 독일에서도 자랑스러워하는 맥주명물을 갖고있는 도시로 그중
하나는 바이엔 스테판이란 회사다.
1040년 양조장을 건립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맥주회사로 현재는
뮌헨대학 농과대학의 연구시설로도 사용된다.
다른 하나는 매년 9-10월중 2주간에 걸쳐 독일의 대부분 도시에서
열리는 맥주축제로 그 중 뮌헨축제는 최대규모이다.
이 행사를 통해 뮌헨시가 벌어들이는 수익금은 연간 10억마르크 안팎.
우리와 이웃인 일본은 중국에 이은 아시아의 주요맥주소비국이면서
시장상황이 우리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일본의 맥주시장은 보통 4파전으로 거론된다.
기린맥주와 아사히 삿포로 산토리가 그들이다.
기린의 시장점유율이 50% 미만으로 떨어져있으며 아사히와 삿포로맥주는
최근 2-3년동안 약간씩 시장을 확대시켜왔다.
특히 현재 국내맥주시장의 3사 경쟁구조는 80년대말 일본의 드라이맥주
경쟁과 흡사하다고 업계관계자들은 설명한다.
드라이맥주는 단맛을 줄이고 맥주를 마신후에도 깨끗한 뒷맛을 갖도록
개발된 제품으로 지난 87년 아사히맥주가 처음 선보였다.
아사히는 당시까지 일본 4개업체중 만년 3위에 머무르던 상황을
타개하기위해 사운을 걸고 슈퍼드라이를 개발했다.
결국 다음해 다른 3개회사가 마이너스성장이나 제자리걸음을 보이는
가운데 아사히만 70%가량의 매출신장을 기록하며 2위 자리를 차고앉은
것이다.
맥주소비와 관련된 세계적인 추세는 비열처리맥주의 인기와 함께
"라이트"가 붙은 제품을 선호한다는 점이다.
미국시장에서는 지난해 버드라이트 밀러라이트 쿠어스라이트가 각각
단일품목으로 2,3,4위의 판매실적을 보였다.
맥주는 유럽 북미에서 세계소비량의 50%이상이 소비되고있으며
아시아소비량도 급격히 늘고있다.
개인당 소비량은 체코 독일 아일랜드 덴마크순이며 미국 가봉 베네수엘라
일본등지에서도 많이 소비되는 편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8일자).
시베리아나 아프리카의 오지에서도 사람들은 맥주를 마신다.
맥주는 오늘날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있는 세계인의 술이다.
맥주는 시장이 크다.
세계인의 술로 자리를 굳혔으니 당연하다.
시장이 큰 만큼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이들도 많다.
세계적인 맥주회사도 있지만 거의 모든 나라에는 현지 맥주를 만드는
기업들이 경쟁을 벌이고있다.
이들은 서로간에 공격과 방어를 거듭하며 시장안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세계맥주시장은 오래전부터 3파전의 양상을 보여왔다.
미국의 안호이저 부시(AB)와 밀러, 네덜란드의 하이네켄은 명성과
실질적인 규모면에서 맥주시장의 3대 메이저로 불러도 손색이 없다.
최대회사는 버드와이저를 생산하는 안호이저 부시로 지난해에는
9백75만kl의 맥주를 출고한 것으로 잠정집계되고있다.
이는 1년전에 비해 1.2%가 줄어든것이다.
호황일때는 출고량 1천만 를 거뜬히 넘긴다.
미국내 시장점유율은 약 45%이다.
역시 미국기업인 밀러는 말보로담배로 유명한 필립모리스의 자회사이다.
작년 한햇동안 약 5백만kl의 맥주를 출고, 미국시장에서 23.2%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네덜란드의 하이네켄은 한해평균 6백만kl 가량을 출고한다.
이들 3대 메이저는 각각 세계시장에서 5-10% 사이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2-3년전부터는 세계시장공략을 위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있다.
하이네켄은 유럽회사이면서도 연간순익(평균 50억달러)의 50%정도를
유럽이외의 지역에서 벌어들인다.
이에비해 순익이 하이네켄보다 훨씬 많거나 비슷한 안호이저 부시와
밀러는 미국바깥에서 거둬들이는 순익비율이 약 4-5%씩으로 미미하다.
결국 미국회사들이 세계기업에 걸맞는 수준으로 국외수입을 늘리기위해
노력하면서 하이네켄과의 신경전에 한층 열기가 오른 셈이다.
안호이저 부시는 지난 93년 코로나맥주로 유명한 멕시코 최대회사
그루포 모델로의 지분(17.7%)을 매입한데 이어 중국 칭따로맥주에서도
5%의 지분을 가져갔다.
그리고 지난해에는 중국 무한에 있는 지방 맥주회사의 지분을 80%나
사들이는 "식욕"을 과시하기도 했다.
밀러도 필립모리스가 갖고있는 국제영업망을 이용, 무차별적으로
각국 맥주회사의 지분을 긁어모았다.
캐나다의 몰슨과 멕시코 펨의 주식을 사들인것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하이네켄은 역시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경쟁회사의 나라인 미국에서 "머피 아이리시 스타우트"라는 신제품을
내놓아 4천만달러의 광고비로 시장을 공략하고나서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
미국소비자들의 관심이 수입맥주 특수맥주(유명인들의 이름등을 붙여
이미지와 함께 판매하는 제품)등으로 옮겨가고있는 상황을 정확히 꿰뚫은
것이다.
또 유럽에서의 수성을 위해 체코의 필러스맥주를 비롯,
동구권맥주회사들과 합작하는 전략을 구사하고있다.
3대 메이저회사가 널리 알려져있지만 덩치만 크다고 좋은 회사는
아니다.
맥주의 맛에 관한한 독일회사들은 "박사학위"소지자라고 할수있다.
독일에는 맥주회사만도 1천2백개사가 있고 헤아릴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제품들이 생산된다.
지난 94년의 경우 1천2백만 를 생산,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3위를
기록했다.
독일의 맥주산업은 내수위주여서 수입물량이 전체 소비량의 2%에
지나지않고 수출도 생산량의 6%정도에 머무르고있다.
뮌헨은 독일에서도 자랑스러워하는 맥주명물을 갖고있는 도시로 그중
하나는 바이엔 스테판이란 회사다.
1040년 양조장을 건립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맥주회사로 현재는
뮌헨대학 농과대학의 연구시설로도 사용된다.
다른 하나는 매년 9-10월중 2주간에 걸쳐 독일의 대부분 도시에서
열리는 맥주축제로 그 중 뮌헨축제는 최대규모이다.
이 행사를 통해 뮌헨시가 벌어들이는 수익금은 연간 10억마르크 안팎.
우리와 이웃인 일본은 중국에 이은 아시아의 주요맥주소비국이면서
시장상황이 우리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일본의 맥주시장은 보통 4파전으로 거론된다.
기린맥주와 아사히 삿포로 산토리가 그들이다.
기린의 시장점유율이 50% 미만으로 떨어져있으며 아사히와 삿포로맥주는
최근 2-3년동안 약간씩 시장을 확대시켜왔다.
특히 현재 국내맥주시장의 3사 경쟁구조는 80년대말 일본의 드라이맥주
경쟁과 흡사하다고 업계관계자들은 설명한다.
드라이맥주는 단맛을 줄이고 맥주를 마신후에도 깨끗한 뒷맛을 갖도록
개발된 제품으로 지난 87년 아사히맥주가 처음 선보였다.
아사히는 당시까지 일본 4개업체중 만년 3위에 머무르던 상황을
타개하기위해 사운을 걸고 슈퍼드라이를 개발했다.
결국 다음해 다른 3개회사가 마이너스성장이나 제자리걸음을 보이는
가운데 아사히만 70%가량의 매출신장을 기록하며 2위 자리를 차고앉은
것이다.
맥주소비와 관련된 세계적인 추세는 비열처리맥주의 인기와 함께
"라이트"가 붙은 제품을 선호한다는 점이다.
미국시장에서는 지난해 버드라이트 밀러라이트 쿠어스라이트가 각각
단일품목으로 2,3,4위의 판매실적을 보였다.
맥주는 유럽 북미에서 세계소비량의 50%이상이 소비되고있으며
아시아소비량도 급격히 늘고있다.
개인당 소비량은 체코 독일 아일랜드 덴마크순이며 미국 가봉 베네수엘라
일본등지에서도 많이 소비되는 편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