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연체 초비상] (상) 무엇이 문제인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용카드사들의 6개월이상 악성연체금액이 1조원을 넘어섬에 따라
"현금없는 신용사회정착"에 빨간불이 켜졌다.
단순히 연체금액 1조원돌파라는 외형상 문제뿐 아니라 연체증가율 속도가
빨라지는 등 부실이 심화될 소지가 크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연체현황
=악성연체증가율은 이용실적증가율의 두배에 이르고 있다.
지난 93년 27조원이던 이용금액은 지난 3월말에는 55조원(추정치)으로
2배가량 증가한 반면 연체증가율은 지난 93년말 2천4백84억원에서
1조76억원으로 4배이상 급증했다.
이에 따라 악성연체비율은 무려 2%에 달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일본등 다른 선진국의 0.4%와 비교하면 무려 4배나 높은
수준이다.
이 수치는 카드를 사용한 고객 50명중 1명꼴로 빚을 갚지 않으며 동시에
카드사는 고객에게 카드사용대금으로 1백만원을 청구하면 2만원은 떼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인
=지난 93년부터 2년여동안 신용카드사들은 20세미만 무소득자나 학생 등
대금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신용카드를 남발해 왔다.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카드업계의 무분별한 경쟁이 악성연체증가를
자초한 것이다.
카드를 소지한 고객중 실제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30%에도
못미친다는 것은 업계도 인정하고 있다. (삼성카드관계자)
고객의 신용카드에 대한 인식부족도 신용사회정착에 걸림돌로 꼽힌다.
카드남발에 편승해 손쉽게 카드를 획득한 사람들은 카드사용후 "빚이면
소도 잡아먹는다"는 식으로 과소비를 일삼아 온 것이 현실이다.
<>파장
=재정경제원은 내년초 카드시장 개방과 내년 하반기 여신전문기관 통합을
앞두고 카드사들의 악성연체비율을 내년 6월말까지 1.5%이하로 내리도록
지도하고 있다.
국민 삼성 비씨 외환 등 4개 카드사들은 연체를 대폭 줄이지 못할 경우
내년 7월부터 신규영업이 어렵게 될 가능성도 높다.
연체증가로 일부 카드사들은 작년말 결산에서 적자로 돌아섰다.
< 박준동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3일자).
"현금없는 신용사회정착"에 빨간불이 켜졌다.
단순히 연체금액 1조원돌파라는 외형상 문제뿐 아니라 연체증가율 속도가
빨라지는 등 부실이 심화될 소지가 크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연체현황
=악성연체증가율은 이용실적증가율의 두배에 이르고 있다.
지난 93년 27조원이던 이용금액은 지난 3월말에는 55조원(추정치)으로
2배가량 증가한 반면 연체증가율은 지난 93년말 2천4백84억원에서
1조76억원으로 4배이상 급증했다.
이에 따라 악성연체비율은 무려 2%에 달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일본등 다른 선진국의 0.4%와 비교하면 무려 4배나 높은
수준이다.
이 수치는 카드를 사용한 고객 50명중 1명꼴로 빚을 갚지 않으며 동시에
카드사는 고객에게 카드사용대금으로 1백만원을 청구하면 2만원은 떼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인
=지난 93년부터 2년여동안 신용카드사들은 20세미만 무소득자나 학생 등
대금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신용카드를 남발해 왔다.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카드업계의 무분별한 경쟁이 악성연체증가를
자초한 것이다.
카드를 소지한 고객중 실제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30%에도
못미친다는 것은 업계도 인정하고 있다. (삼성카드관계자)
고객의 신용카드에 대한 인식부족도 신용사회정착에 걸림돌로 꼽힌다.
카드남발에 편승해 손쉽게 카드를 획득한 사람들은 카드사용후 "빚이면
소도 잡아먹는다"는 식으로 과소비를 일삼아 온 것이 현실이다.
<>파장
=재정경제원은 내년초 카드시장 개방과 내년 하반기 여신전문기관 통합을
앞두고 카드사들의 악성연체비율을 내년 6월말까지 1.5%이하로 내리도록
지도하고 있다.
국민 삼성 비씨 외환 등 4개 카드사들은 연체를 대폭 줄이지 못할 경우
내년 7월부터 신규영업이 어렵게 될 가능성도 높다.
연체증가로 일부 카드사들은 작년말 결산에서 적자로 돌아섰다.
< 박준동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