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업종단체들이 당초 작년보다 21.5% 늘려 잡았던 올해 연간수출전망치
를 15.4% 증가로 낮춰 조정하는등 국내경제가 본격적인 하강국면을 맞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업종이 당초 작년대비 28.4%로 잡았던
수출증가율을 18.1%로 하향조정했으며 기계는 33.2%에서 24.0%로,섬유는
5.4%에서 3.4%로 각각 낮춘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2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국내경제는 상
반기에 GDP기준 7.3%,하반기에 6.7%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여 하반기
에 침체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경상수지는 무역수지적자가 40억달러로 지난해의 47억달러보다 다소 개
선될 전망이나 무역외수지와 이전수지적자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어서 작년
보다 7억달러 정도 늘어난 9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경련은 수출둔화요인으로 수출단가하락과 선진국의 수입수요 둔화를
들고 원화의 고평가와 금리 임금 땅값 물류비용등 고비용구조의 개선지체
로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수입은 시설투자 둔화에 따른 수입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소
비 고급화와 유통시장 개방에 따른 소비재 수입증가 <>섬유 신발 등 저가
비내구재를 중심으로 중국등 후발개도국 및 해외투자 공장으로부터의 역수
입이 늘어나 원자재와 소비재등의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경련은 경상수지적자 누적을 개선하고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통화긴
축과 같은 총수요관리를 실시할 경우 금리상승과 해외자본유입 증가에 따
른 원화절상 압력이 커져 침체 국면이 더욱 깊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 이학영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