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4일 3당총무간 접촉을 갖고 국회 정상화를 위한 절충에 나섰으나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3당 총무들은 이날 회동에서 야권이 요구한 <>의원영입에 대한 사과및
추가영입중단 <>부정선거진상조사및 제도개선특위 구성 <>총선직후 의석수를
기준으로한 원구성등 5개항을 집중 논의했다.

여야총무들은 이날 사과와 영입중지등에 대해서는 납득할수 있는 수준에서
융통성있게 대처하자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신한국당은 그러나 부정선거방지및 검찰과 경찰의 중립화보장을 위한
관련법개정특위구성 원구성문제등에 대해서는 수용할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 절충점을 찾지 못했다.

여야는 국회 본회의가 속개되는 오는 18일이전까지 가급적 협상을 매듭
짓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으나 여권 핵심부와 야권 지도부의 정국인식차가
워낙 큰데다 쟁점사안에 대해서는 서로가 기존입장을 고수한채 상대방의
양보만을 요구하고 있어 국회 정상화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 문희수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