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무역학회는 21일 대한상의 국제회의실에서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96년도 무역인대상 시상식과 정례 학술발표대회를 갖는다.

"21세기 신국제통상질서하에서의 한국무역의 대응"이라는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발표대회에서는 이수웅 관세청 통관관리국장이 ''EDI와
통관 시스템''에 대해 주제 발표를 한다.

주제 내용을 요약 소개한다.

<< 편집자주 >>

=======================================================================

우리나라와 같이 사회전반의 정보화가 늦은 나라에서는 정부 주도로 EDI를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체적인 EDI보다는 통관분야의 EDI를 프로토타잎으로 실현하는 것이 EDI
확산에 효율적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몇가지 전제가 있다.

첫째 기업관리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흔히 전산이라고 하면 신세대나 다루는 분야로 생각하고 기성세대는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업무전산화든 EDI든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전산기술상의 문제가 아니고
행정 내지 경영상의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

서류처리방법을 어떻게 개선하고 업무절차를 어떻게 자동화할 것인가는
의사결정권을 가진 관리자가 담당해야 한다.

전산기술자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운전은 기사가 하지만 목적지는 사장이 지시하는 것과 같다.

둘째 정보산업 전문가의 분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전산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되고 있으므로 이 분야의 전문가도 나날이
새롭게 발전하는 기술을 따라가기 힘들 정도다.

한마디로 EDI라고 하지만 그 구현방법에 따라 시스템의 효율은 천차만별
이다.

오늘에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문제가 내일은 쉽게 해결될 수도 있다.

업무전산화의 기획단계에서는 최신의 기법을 도입했으나 2~3년후 완성단계
에서는 진부한 기법이 돼버리는 것도 이 분야 업무의 특징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전산업무의 특성을 이해하고 격려해주며 부족한 기술은
외부에서 도입하여 지원해주는 아량이 필요하다.

또 전산기술자는 자기 혼자 만능이 될 수는 없으므로 자기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분명히 하여 관리자의 의사결정에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정보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기관의 역할 증대다.

우리나라가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는 앞당겨야 한다는 구호가 표방
하듯이 정보화사회의 구현은 정부가 역점을 두어 추진할 정책과제다.

민간에서는 이에 관해 정보산업에 대한 세제감면 금융지원들을 요청하고
있으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정보화사회의 구성분자로서 정부의 역할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부의 각 부처가 정보산업의 수요자로서 시스템 개발의 용역을 발주하고
기자재를 구입하는 과정에서 정보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용역발주를 예로들면 예산회계법과 계약사무처리규정의 내용은 도로나
교량의 건설공사를 상정하고 만든 것이다.

따라서 전산시스템 개발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많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부기관이나 민간의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해 만든 법률이
오히려 전산개발의 추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불합리한 제도나 관행을 시정하려고 하는 연구 제언이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