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기업의 임금실태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에 나섰다.

24일 재정경제원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임금수준 파악을 위해 삼성, 현대
등 주요 대그룹과 은행, 증권 등 금융기관, 그리고 중소기업 및 정부투자기관
등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

재경원은 특히 이번 조사를 통해 통상임금 뿐만아니라 복리후생비를 포함한
제반 경비를 총망라한 실질 임금수준 파악에 나서 향후 정부 임금정책의
중대한 변화를 시사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나부총리는 이에 앞서 지난 21일 1급 간담회에서 1인당 인건비, 평당 땅값,
단위당 물류비용 등 기업을 영위하는데 드는 제반 비용을 경쟁국과 비교해
보고서를 제출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재경원 관계자는 "국내 임금수준은 기업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가장큰 요인으로 꼽힐 정도로 지나치게 높다"며 "이번 조사는 이를 객관적
으로 입증할만한 자료 확보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그러나 현실적으로 정부가 사기업의 임금 결정에 직접
개입할만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번 조사결과는 단순 홍보용 자료로나
활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덧붙였다.

< 김선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