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시장의 중요한 경제적 기능은 가격 위험을 위험회피자로부터
투기자에게로 이전하는 것이다.

헤지는 현물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의 대체물로 선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헤지 포지션은 현물 포지션의 현재 가격에 고정된다.

현물과 선물 가격이 함께 변하면 한 포지션(현물이든 선물이든)에서
위험 회피자가 입는 손실은 다른 포지션에서의 이익에 의해 상쇄된다.

이익과 손실이 동일한 경우의 헤지를 완벽헤지(Perfect Hedge)라고
부르는데, 주가지수 선물시장에서 완벽한 헤지는 무위험 수익률을 가져온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헤지는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다.

주가지수 선물을 가지고 헤지할 경우 완벽한 헤지는 헤지된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이 선물거래와 일치할 때만 얻어진다.

주식 포트폴리오와 선물거래의 수익률에는 시장 외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에 완벽한 헤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주식 포트폴리오에 대한 헤지의 효율성은 첫째 포트폴리오와 선물 거래의
대상이 되는 지수의 관계, 둘째 헤지가 일어나고 해제될 때의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과의 차이를 베이시스라고 하는데 결과적으로 헤지는
가격 위험을 베이시스 위험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주가지수 선물은 기초 상품으로 주가지수를 사용한다.

헤지되는 포트폴리오가 기초 주가지수와 다른 특성을 갖게 되면 헤지된
포트폴리오와 선물의 수익률 형태에 차이가 생긴다.

헤지되는 상품과 다른 선물로 헤지하는 방법을 크로스 헤지(Cross-hedge)
라고 부르는데, 주식 시장에서 위험회피자는 주식 포트폴리오를 가장 잘
추적하는 주가지수 또는 주가지수와 선물의 조합을 선택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크로스 헤지는 베이시스 위험에 다른 차원을 부가한다.

주식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중 지수외 연관되지 않은 요인은 주가지수
선물에 의해 헤지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헤지를 위해 구성된 포트폴리오
의 가격이 지수를 얼마나 잘 추적하며, 베이시스가 어떤 행태를 보이는가가
헤지의 성공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