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로 100만가구 가입을 돌파한 케이블TV가 올연말까지 150만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종합유선방송국(SO)의 지역채널 운영(보도기능 포함)
이 업계의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방침이 허용한다는 쪽으로 기본 줄기를 잡은 가운데 문제의 초점은
<>지역채널의 취재.보도범위(구역)의 설정 <>취재.보도에 따른 피해방지
대책 <>지역채널 자문위원회의 운영활성화등에 모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종합유선방송위원회는 지난 13일 "취재.보도허용에 따른 지역
채널의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SO대표와 지역신문관계자, 학계와 시민운동단체, 지방자치
의원등이 참석, 취재.보도허용여부와 허용된 경우 이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토론을 펼쳤다.

박근숙 SO협의회장은 먼저 "지역채널의 취재.보도허용은 개국때부터
이뤄졌어야 할 문제"라고 전제한뒤 "보도기능 불허는 지역주민의 정보욕구
충족에도 어긋나는 문제로 지방자치제가 활짝 꽃피기 위해서는 당연히 허용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종명 대구케이블TV사장은 "취재.보도를 허용하면서 구역을 제한한다거나
자문위원회를 만들어 감시하게 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라며 "인구및
가구수에 맞춰 허가된 현행 SO구역으로 취재.보도범위를 제한하는 것도
협의적이며 광역시범위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사장은 또 보도허용과 관련해 일어날 수 있는 사이비기자문제등 피해
방지대책에 대해서도 "보도권을 독점하기 위한 타언론사의 주장이거나
지나친 논리의 비약"이라고 일축하고 "정정보도청구권등 현행법을 적용하면
큰 문제가 될 수 없다"고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바른언론을 위한 시민연합의 오세민 대전지부집행위원장은 "밑지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업체들이 너나없이 언론사를 만들려는 오늘날의
비상식적인 현실은 사이비기자를 양산하는 구조적 토양이 되고 있다"고
밝히고 "지역방송국의 취재.보도를 담당할 기자들은 중앙언론사와 비교할때
역량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사이비기자 발생의 소지가 크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김문환 국민대교수(법학)도 "정보의 홍수시대로 일컬어지는 오늘날
우리나라 국민들은 지역뉴스보다는 중앙뉴스에 더 관심이 많다"며 "지역
채널에 보도기능을 도입하는 것은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부정적 견해를
표시했다.

이날 공청회는 지역채널에 무제한적 취재.보도허가를 주장하는 SO대표들이
대거 참석, 일관된 목소리를 냈지만 학계와 방송계에서 나온 인사들은 사전
지식없이 참가한 경우가 많아 내실있는 토론은 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의 여론형성을 통한 <>건전한 지역여론 형성
<>지역발전 도모 <>지역특화 선도 <>지방행정의 민주화등을 위해 지역채널의
취재.보도는 허용돼야 한다는 쪽으로 대체적인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그러나 취재.보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역민들의 피해에 대한 구제책
이나 사이비기자 근절등에 대해선 뚜렷한 대책이 제시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