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보통신] 멀티산업 : 국내 SW업계 .. 인터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이 과거 일본에 뒤처졌던 경쟁력을 최근들어 회복하고 있는
것은 정보기술이 뒷받침됐기 때문입니다.
업무흐름 자체를 바꾸고 정보를 공유할수 있도록 하는 그룹웨어 같은
정보기술을 경영에 접목해 리엔지니어링을 이끌어낸 덕분이지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의 김택호회장(61.현대정보기술사장)은
"소프트웨어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터넷이 "정보의 바다"로 각광받게 된 것도 웹브라우저등의
소프트웨어가 발전한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주일에 한번은 현대정보기술 미현지법인과 PC로 화상회의를
한다"는 김회장은 이 역시 "소프트웨어가 가능케 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제품의 개발에서 생산 유통에 이르는 전과정의 정보를 기업끼리
공유토록해 산업경쟁력을 높이는 CALS 의 등장도 소프트웨어의 발전에서
비롯됐다"는게 그의 지론이다.
김회장은 이처럼 "소프트웨어가 선진국 진입을 위한 기본수단이지만
정부와 국민이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너무 모른다"며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살때 그냥 끼워서 주는 것이라는 인식은 바로 고쳐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프트웨어 구매를 위해 별도 예산을 책정한 학교가 거의 없는게
현실입니다"
그는 이같은 상황에서는 "불법복제가 수그러들기 힘들다"며 "소프트웨어
불법복제가 최근들어 검찰의 단속등으로 줄고는 있지만 수요처 자체의
인식전환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회장은 특히 "정부가 지적재산권으로 보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범위를 넓히는 한편 지재권을 담보로 업체에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소프트웨어를 발주하면서 최저가 낙찰제를 시행함으로써
덤핑이 속출하는 바람에 기업들이 자금부담에 힘들어 하고있습니다"
그는 "기술력이 있는 업체에 적정이윤이 돌아가도록 보장해야 한다"며
"발주기관이 자본금 규모만 보고 큰 회사를 선호하는 풍토는 이제 없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인력을 대기업이
빼가는 것도 문제입니다"
김회장은 "중소기업이 애써 가르친 인력이 경쟁기업이나 대기업으로
빠져 나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며 "업계 차원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협회내에 고용윤리위원회를 설치했다"고 들려줬다.
그는 이 위원회를 통해 부당스카우트사례를 접수, 문제가 있는 경우
경고조치등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와함께 중소기업이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력이 강하다고 알려진
인도 인력을 적절히 활용해 부족한 전문인력을 충원할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말했다.
"소프트웨어는 모든 산업과 연관돼 있습니다"
김회장은 "어느 한부처에서 나선다고 소프트웨어 산업이 육성될수
없다"며 "한국이 선진 소프트웨어 국가로 발전하려면 전부처차원의 협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2일자).
것은 정보기술이 뒷받침됐기 때문입니다.
업무흐름 자체를 바꾸고 정보를 공유할수 있도록 하는 그룹웨어 같은
정보기술을 경영에 접목해 리엔지니어링을 이끌어낸 덕분이지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의 김택호회장(61.현대정보기술사장)은
"소프트웨어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터넷이 "정보의 바다"로 각광받게 된 것도 웹브라우저등의
소프트웨어가 발전한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주일에 한번은 현대정보기술 미현지법인과 PC로 화상회의를
한다"는 김회장은 이 역시 "소프트웨어가 가능케 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제품의 개발에서 생산 유통에 이르는 전과정의 정보를 기업끼리
공유토록해 산업경쟁력을 높이는 CALS 의 등장도 소프트웨어의 발전에서
비롯됐다"는게 그의 지론이다.
김회장은 이처럼 "소프트웨어가 선진국 진입을 위한 기본수단이지만
정부와 국민이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너무 모른다"며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를 살때 그냥 끼워서 주는 것이라는 인식은 바로 고쳐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프트웨어 구매를 위해 별도 예산을 책정한 학교가 거의 없는게
현실입니다"
그는 이같은 상황에서는 "불법복제가 수그러들기 힘들다"며 "소프트웨어
불법복제가 최근들어 검찰의 단속등으로 줄고는 있지만 수요처 자체의
인식전환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회장은 특히 "정부가 지적재산권으로 보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범위를 넓히는 한편 지재권을 담보로 업체에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소프트웨어를 발주하면서 최저가 낙찰제를 시행함으로써
덤핑이 속출하는 바람에 기업들이 자금부담에 힘들어 하고있습니다"
그는 "기술력이 있는 업체에 적정이윤이 돌아가도록 보장해야 한다"며
"발주기관이 자본금 규모만 보고 큰 회사를 선호하는 풍토는 이제 없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인력을 대기업이
빼가는 것도 문제입니다"
김회장은 "중소기업이 애써 가르친 인력이 경쟁기업이나 대기업으로
빠져 나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며 "업계 차원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협회내에 고용윤리위원회를 설치했다"고 들려줬다.
그는 이 위원회를 통해 부당스카우트사례를 접수, 문제가 있는 경우
경고조치등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와함께 중소기업이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력이 강하다고 알려진
인도 인력을 적절히 활용해 부족한 전문인력을 충원할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말했다.
"소프트웨어는 모든 산업과 연관돼 있습니다"
김회장은 "어느 한부처에서 나선다고 소프트웨어 산업이 육성될수
없다"며 "한국이 선진 소프트웨어 국가로 발전하려면 전부처차원의 협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