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보통신] 반도체-부품 : 부품업계..기술, 일본에 뒤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 전자부품산업의 기술은 일본에 비해 얼마나 뒤져 있을까.
국내 전자부품산업의 기술수준은 일본이 100이라면 37정도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가 국내 전자정보통신관련 생산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본의 기술수준을 100으로 했을 때 PCB
(인쇄회로기판)분야는 50, 고주파부품 기술은 30에 불과했다.
또 메모리반도체기술은 40, 비메모리반도체기술은 30, LCD(액정표시장치)
기술은 겨우 15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센서기술은 50, 광전부품기술은 40, 전지기술은 20으로 조사돼 평균적
으로는 37을 기록했다.
이같은 낮은 기술수준으로 인해 전자부품업체들은 기술도입을 선호하고
있으나 적정기술 탐색 및 선정능력의 부족(25%)과 기술제공측의 기술공여
기피(25%)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생산인력(54%)과 기술개발인력(53%)이 부족하며 종사자들의 전문성이
필요해 인력확보가 더욱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부품산업의 시장확보는 최근 국내수요의 확장세 둔화로 판매의 어려움이
있으며 해외시장에서는 선진국과의 경쟁과 함께 대만 싱가포르 등 신흥
개도국과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시장확보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전자부품산업의 열악한 경쟁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망부품분야
에 대해 집중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정보통신용 소재부품에 대한 정부
역할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며 <>산업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게 업계의 중론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2일자).
국내 전자부품산업의 기술수준은 일본이 100이라면 37정도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가 국내 전자정보통신관련 생산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본의 기술수준을 100으로 했을 때 PCB
(인쇄회로기판)분야는 50, 고주파부품 기술은 30에 불과했다.
또 메모리반도체기술은 40, 비메모리반도체기술은 30, LCD(액정표시장치)
기술은 겨우 15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센서기술은 50, 광전부품기술은 40, 전지기술은 20으로 조사돼 평균적
으로는 37을 기록했다.
이같은 낮은 기술수준으로 인해 전자부품업체들은 기술도입을 선호하고
있으나 적정기술 탐색 및 선정능력의 부족(25%)과 기술제공측의 기술공여
기피(25%)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생산인력(54%)과 기술개발인력(53%)이 부족하며 종사자들의 전문성이
필요해 인력확보가 더욱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부품산업의 시장확보는 최근 국내수요의 확장세 둔화로 판매의 어려움이
있으며 해외시장에서는 선진국과의 경쟁과 함께 대만 싱가포르 등 신흥
개도국과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시장확보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전자부품산업의 열악한 경쟁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망부품분야
에 대해 집중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정보통신용 소재부품에 대한 정부
역할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며 <>산업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게 업계의 중론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