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원 < 동양선물 이사 >

쌀의 국제가격 추이는 시카고 근월 선물가격 기준으로 94년에 톤당 평균
1백51달러에서 95년에는 톤당 1백82달러, 96년 5월에는 톤당 평균 2백
29달러를 정점으로 6월말 현재 톤당 평균 2백21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수급측면에서는 우선 쌀은 전세계적으로 생산지에서 대부분 소비가
이루어지고 생산량의 5%정도만이 국제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전세계 공급량은 정곡기준으로 94/95년에 4억1천6백만톤, 95/96년에 4억
2천1백만톤, 96/97년에 4억2천2백만톤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교역을 포함하는 소비수요를 보면 94/95년에 3억6천7백만톤, 95/96년에
3억7천4백만톤, 96/97년에 3억7천9백만톤으로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
되고 있다.

따라서 기말재고 수준은 94/95년에 5천만톤, 95/96년에 4천7백만톤,
96/97년에 4천3백만톤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 76/77년이래 최저 재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세계 최대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은 정곡 기준으로 94/95년에 1억2천
3백만톤 생산에 1억2천9백만톤을 소비했고 95/96년에 1억3천만톤 생산에
1억3천1백만톤 소비로 부족분을 수입 충당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쌀 수출국은 타일랜드로 중국의 생산량에 10% 정도이지만
매년 6백만톤 정도를 수출하고 있다.

미국, 베트남은 생산량이 적으나 세계 2위, 3위의 쌀 수출국으로 매년
2-3백만톤을 수출하고 있다.

주요 수입국은 인도네시아를 비롯 홍콩, 이란, 이라크, 아이보리코스트,
나이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유럽연합과 서방국가 대부분이나 각국별로
1백만톤을 넘지 않는 수준이다.

한편 올해 제2의 수출국인 미국은 약 7%정도 경작면적이 축소되었으나
현재까지의 작황은 좋은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중국은 홍수, 타일랜드는 계절적 강우로 생산감소가 우려되고 있다.

또 일본, 마얀마, 한국등은 자국내 쌀값 상승으로 쌀의 작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같이 주요국의 생산량 감소와 수입 수요의 증가로 세계적으로 재고감소
추세가 발생, 국제가격의 강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올 하반기의 가격은 시카고 근월 선물가격 기준으로 지난 5월에
형성됐던 월 평균가격 톤당 2백29달러 수준을 상향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