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동비용 경쟁국보다 빠르게 상승"..통산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우리나라의 노동비용이 일본 대만등 경쟁국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
어 산업경쟁력 확보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7일 통상산업부가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7년부터 94년까지 우리나
라의 명목임금 평균 상승률은 15.9%였으나 이 기간중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10.4%에 그쳤다.
이에 비해 이 기간중 일본의 명목임금 상승률은 2.5%,대만은 10.6%였으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각각 1.8%,6.1%로 두 나라 모두 한국보다는 명목임금
상승률과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격차가 적어 상대적인 경쟁력이 꾸준히 향상
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통산부는 이처럼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명목임금 상승률을 따
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은 소비자물가를 감안한 실질임금 상승률이 91년 이
후부터 한자릿수로 안정되긴 했지만 경쟁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94년의 경우 우리나라의 실질임금 상승률은 93년의 5.8%에서 8.7%로 다시
높아진 반면 일본은 94년에 1.3%상승에 그쳤고 대만도 93년에 3.8%, 94년에
는 2.4%등 최근 들어 눈에 띄게 임금상승률이 낮아졌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8일자).
어 산업경쟁력 확보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7일 통상산업부가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7년부터 94년까지 우리나
라의 명목임금 평균 상승률은 15.9%였으나 이 기간중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10.4%에 그쳤다.
이에 비해 이 기간중 일본의 명목임금 상승률은 2.5%,대만은 10.6%였으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각각 1.8%,6.1%로 두 나라 모두 한국보다는 명목임금
상승률과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격차가 적어 상대적인 경쟁력이 꾸준히 향상
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통산부는 이처럼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명목임금 상승률을 따
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은 소비자물가를 감안한 실질임금 상승률이 91년 이
후부터 한자릿수로 안정되긴 했지만 경쟁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94년의 경우 우리나라의 실질임금 상승률은 93년의 5.8%에서 8.7%로 다시
높아진 반면 일본은 94년에 1.3%상승에 그쳤고 대만도 93년에 3.8%, 94년에
는 2.4%등 최근 들어 눈에 띄게 임금상승률이 낮아졌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