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생산이 급격히 둔화되면서 재고가동률 실업률 등 각종 경제지표가
모두 악화돼 전반적인 경기가 급격히 하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가 계속 오르고 경상수지적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같이
산업활동까지 위축돼 경제활력을 회복시키기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까지만해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8%의 높은 증가율을 유지하던 산업생산이
6월 들어서는 3.8%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지난 94년 2월(1.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동안 80% 이상을 유지하던 제조업평균가동률도 지난 93년1월의
76.4%이후 최저수준인 77.8%로 낮아졌다.

재고증가율은 지난 91년9월의 20.3%이후 최고치인 20.2%를 기록했으며
제조업의 출하규모를 감안한 재고율지수는 114.8로 90년대들어 가장
높았다.

또 계절요인을 감안한 계절조정실업률은 2.2%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도소매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내수용소비재출하는 4.7%
증가에 그쳐 소비도 부진한 양상을 보였다.

통계청은 이같은 경기위축은 <>자동차업종의 노사분규에 따른 생산차질
<>반도체와 철강 수출부진 <>전반적인 소비둔화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각종 경제지표가 모두 악화됨에 따라 현재의 경기상태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경기동향지수 순환변동치가 0.5%나 감소했으며
향후 3~6개월후의 경기를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도 전월보다 0.1%
증가하는데 그쳐, 본격적인 경기하강국면을 맞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정지택 통계청 조사통계국장은 "산업생산이 급격히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노사분규 등 외부요인을 제외할 경우 실제 산업생산은
6.6%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경기가 급랭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 김성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