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신문' 지령 300호 .. 고고미술 대중화 기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행하는 "박물관신문"(월간, 타블로이드 8면)이
8월1일자로 지령 300호를 맞았다.
박물관신문은 70년 7월 당시 관장이었던 고 김원룡박사에 의해 창간됐다.
"박물관은 국민과 함께 숨쉬는 살아있는 생명체가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각종 소식을 전하는 매체가 필요하다"는 것이
취지.
박물관신문은 이후 국립박물관 소식뿐만 아니라 문화재발굴 및 문화교육에
관한 내용도 게재, 문화발신지 역할을 해왔다.
또 고고사학계의 주장및 논문들을 게재함으로써 고고미술사학계의
교양지로 자리매김됐다.
현재 1만부가 국공립및 사립대학 박물관과 중.고교교사, 대학관련학과,
해외문화원과 전세계 한국학연구소등에 배포되고 있다.
300호는 12면으로 확대발행됐다.
박물관신문의 애독자중 한사람인 일본동경대교수 조을녀아박박사의
축하기고문도 게재됐다.
< 오춘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일자).
8월1일자로 지령 300호를 맞았다.
박물관신문은 70년 7월 당시 관장이었던 고 김원룡박사에 의해 창간됐다.
"박물관은 국민과 함께 숨쉬는 살아있는 생명체가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각종 소식을 전하는 매체가 필요하다"는 것이
취지.
박물관신문은 이후 국립박물관 소식뿐만 아니라 문화재발굴 및 문화교육에
관한 내용도 게재, 문화발신지 역할을 해왔다.
또 고고사학계의 주장및 논문들을 게재함으로써 고고미술사학계의
교양지로 자리매김됐다.
현재 1만부가 국공립및 사립대학 박물관과 중.고교교사, 대학관련학과,
해외문화원과 전세계 한국학연구소등에 배포되고 있다.
300호는 12면으로 확대발행됐다.
박물관신문의 애독자중 한사람인 일본동경대교수 조을녀아박박사의
축하기고문도 게재됐다.
< 오춘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