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영에 대해 "부도없는 제3자인수" 방침이 결정됨에 따라 금융권에 대한
파장은 당초 예상보다 줄어들었다.

잔잔하긴 하지만 파장의 모습은 크게 3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는 금융권이 5천5백억원이 이르는 여신을 모두 찾을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권은 일단 안심하고 있다.

우성건설그룹때처럼 "부도처리후 제3자인수방식"을 취할 경우 법정관리
신청이 이어져 모든 채무가 동결된다.

이럴 경우 막대한 대출금에 대한 이자와 원금지급이 정지돼 금융권은
큰 피해를 입게 된다.

그러나 이번 처리방식은 일단 부도나 법정관리없이 정상적인 경영상태에서
경영권자만 바꾸는 것이라 채군자의 이익보전에는 문제가 없다.

건영의 주거래은행으로 1천9백억원의 여신이 있는 서울은행을 비롯해
1-2금융권의 건영에 대한 여신총액은 약5천5백억원에 이른다.

특히 그동안 최고 1천억원의 여신이 있었던 종금사들도 여신을 대폭
줄였다.

제2금융권중 <>대한종금 약2백억원 <>중앙종금 약3백억원 <> 삼삼종금
약3백억원의 여신이 있다.

이들은 모두 원금회수가 안정권에 들어섰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담보가 3천억원이 채안돼 3자인수가 안되고 부도가 날 경우에는
나머지 약3천억원에 대한 신용여신을 떼일수 밖에 없다는 우려는 남아 있다.

채권금융기관의 한 관계자는 "건영은 일단 우성보다 여신규모가 적고
대부분의 여신에 대해 금융권이 충분한 담보를 확보해 금융기관이 당장
겪는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자금여력이 충분한 기업이 건영을 인수한다면 여신
회수를 위해 그전처럼 노심초사하지 않아도 돼기 때문에 오히려 전화위복이
될수도 있다"고 낙관적 전망을 해왔다.

두번째 영향은 금융권이 부실한 건설업체에 대한 대출을 대폭 축소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동안 금융권은 건설업체에 대한 여신을 축소하는 가운데 부실한 건설
업체는 대출금을 회수하고 있다.

특히 여신을 주더라도 거의 담보를 요구하고 신용여신이란 말은 자취를
감추었다.

금융계 관계자들은 "비록 건영을 부도내지는 않았지만 건영의 경우는
담보라도 있었다.

그러나 담보도 별로 없는 건설회사는 앞으로 금융권에서 빠른 속도로
배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금융권에서 건설업체는 우량기업과 부실기업의 양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경향은 그렇지않아도 한창 오름세를 타고 있는 금리를 자극할
수있다.

담보가 충분치 않은 부실한 중견건설업체가 고금리라도 자금을 빌려쓸
것이고 이것이 금리상승을 촉발할 것이란 얘기다.

세번째 영향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금융권이 리스크관리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부실기업에 대한 여신은 아무리 금리가 높더라도 부도나 경영권변동의
위험이 상존해 껄릴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금융기관의 여신심사가 더욱강화되고 부실기업은 금융권의 자금을
쓰기 어려워질 것이란 점이다.

(안상욱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