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은행들의 부실채권이 수천억달러에 달하는 등 중국금융업계가
실상 파산상태에 빠졌다고 윌스트리트저널이 6일 보도했다.

저널지는 현재 중국 은행의 부실채권이 전체 채권액의 33%가 넘는
수천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이는 일본 경제를 휘청이게 하고 있는 부실채권사태나 지난 80년대
미국을 금융위기로 몰아넣었던 저축대부조합스캔들 규모를 훨씬 상회
하는 액수이다.

세계은행도 최근 중국의 금융제도가 "사실상 파산"상태라고 선언했다.

이와관련, 중국 사회과학아카데미의 이코노미스트 양 팬은 "앞으로
5~10년안에 중국의 금융위기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정치적
혼란이나 중국의 인플레이션이 재발하면서 대규모 예금인출사태가
발생, 금융제도가 대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점쳤다.

이에따라 중국정부도 은행들에게 이익이 생기는데로 부실채권을
손실처리토록 촉구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부실채권 해결책으로 <>채권청산을 전담하는 국영금융
기관을 설립, 모든 부실채권을 여기서 맡아 처리하토록 하거나
<>국영기업의 채무변제를 돕기위해 특별자금을 투입하고 <>변제
가능성이 희박한 채권을 싼값에 증권화, 일반투자자들에게 내다파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 중국침례대학의 금융전문가 창수키는 "이런 방법은
기존의 부실채권 재고를 정리하는데는 도움이 될 지 모르지만 새로운
부실채권 창출을 막는데는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도 "중국의 부실채권해결을 위해서는 친분관계에
따라 대출여부를 결정짓는 관행을 청산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