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업 사장들 "성실하나 독창성 부족"..신용조사기관 설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도쿄=이봉구특파원 ]
"일본기업 사장들은 성실하긴 하지만 독창성이 부족하다"
일본의 민간신용조사기관인 데이코쿠 데이터뱅크가 최근 실시한
앙케트조사에서 일본기업사장들에 대해 이같은 평가가 나왔다.
일본의 10만개 기업사장들을 대상으로 한 이조사결과(복수응답)에
따르면 사장에 대한 평가로 가장 많은 것은 "성실"(52.8%)이었고
뒤이어 "견실"(50.1%) "실행력"(40.0%) "적극적"(32.2%) 등의 순서를
보였다.
반면 "독창적"이란 평가를 받은 사장은 3.9%에 그쳤고 "개성적"(5.3%)
"선견성"(6.6%) 등의 평가도 극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일본의 사장들은
"현상유지"위주의 보수적 인물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유창한 언변"을 구사하는 사장들의 비율도 4.4%로 극히 낮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책임감" "견실" "성실"에 대한 평가가
두드러졌고 소매업에서는 "적극적"이고 "실행력"있는 사장이 많았다.
또 "인맥"이나 "기획력"에서는 서비스업종 사장들이 높은 평가를
받았고 건설업체사장들은 "외고집"형이 많은 편이었다.
연령별로는 베테랑사장일수록 "인간미"와 "판단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됐고 젊은 사장들은 "기획력"과 "행동력"에 의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8일자).
"일본기업 사장들은 성실하긴 하지만 독창성이 부족하다"
일본의 민간신용조사기관인 데이코쿠 데이터뱅크가 최근 실시한
앙케트조사에서 일본기업사장들에 대해 이같은 평가가 나왔다.
일본의 10만개 기업사장들을 대상으로 한 이조사결과(복수응답)에
따르면 사장에 대한 평가로 가장 많은 것은 "성실"(52.8%)이었고
뒤이어 "견실"(50.1%) "실행력"(40.0%) "적극적"(32.2%) 등의 순서를
보였다.
반면 "독창적"이란 평가를 받은 사장은 3.9%에 그쳤고 "개성적"(5.3%)
"선견성"(6.6%) 등의 평가도 극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일본의 사장들은
"현상유지"위주의 보수적 인물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유창한 언변"을 구사하는 사장들의 비율도 4.4%로 극히 낮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책임감" "견실" "성실"에 대한 평가가
두드러졌고 소매업에서는 "적극적"이고 "실행력"있는 사장이 많았다.
또 "인맥"이나 "기획력"에서는 서비스업종 사장들이 높은 평가를
받았고 건설업체사장들은 "외고집"형이 많은 편이었다.
연령별로는 베테랑사장일수록 "인간미"와 "판단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됐고 젊은 사장들은 "기획력"과 "행동력"에 의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