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원 < 동양선물 이사 >

배합사료의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는 대두박의 수입은 지난
95년 2억달러로 전년대비 50% 증가했다.

대두박은 대두를 가공처리해 얻게 되는데 대두의 수입 또한 지난 95년
4억달러로 전년대비 14% 증가를 보였다.

대두박 선물시장이 있는 시카고선물시장(CBOT)의 근월 선물가격은 지난
94, 95년에 t당(쇼트t=2,000파운드) 평균 200달러 이하를 형성했으나
올들어 t당 평균 226~245달러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전세계 대두박의 생산 소비 현황을 살펴보면(미농무부 8월12일 발표참조)
생산은 지난 94, 95년 8,719만t(메트릭t=2,205파운드)에서 96, 97년에는
8,838만t으로 1.4%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소비는 지난 94, 95년 8,670만t에서 96, 97년에는 8,878만t으로
2.4% 증가할 전망이어서 소비증가가 생산을 앞설 것으로 예상된다.

또 기말재고는 지난 94, 95년 434만t에서 96, 97년에 397만t으로 8.5%
감소할 전망이다.

최대 생산국인 미국은 전세계 생산량의 3분의1을 점하고 있으며 2위
생산국 브라질은 미국의 반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또 대두박은 전세계 식물성박류 생산의 60% 정도를 점하고 있으며 대체재인
면실박과 유채박이 20%를 차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대두박의 생산은 지난 10년간 50% 정도 증산되었다.

특히 중국은 거의 3배 증가, 미국 생산량의 5분의1 수준에 이르렀으며
브라질은 60%, 미국은 같은 기간동안 30% 정도 증산되었다.

이러한 대두박의 증산은 전세계적인 식물성 유지의 수요증가라는 간접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다.

또 동구권의 안정적인 경제성장이 대두박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유럽연합(EU)은 대두박 수입을 6년째 계속해서 늘리고 있는데 이는
예상보다 가금류 생산이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대두박의 가격전망은 기본적으로 사료용 곡물인 옥수수 가격 움직임을
따라 현재 수준에서 지지를 받으며 상승추세를 보일 것이다.

또 중국의 홍수피해 정도, 미농무부의 미국 작황및 전세계 수급발표등에
따라 추세가 조정될 것이다.

대두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자의 매도헤징 증가와 펀드관련 매입세의
증가가 예상된다.

단기적으로는 시카고 근월 선물가격 기준으로 t당 240달러에서 지지를
받고 263달러 수준에서 1차 저항을 받을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