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생활] 턱관절 장애 .. 날카로운 통증/귀울림 등 발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상민 < 가톨릭대의대 의정부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
우리몸의 관절가운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중 하나가 턱관절이다.
턱관절은 귀앞쪽의 측두골과 하악골이 만나는 관절로 음식을 씹거나
이야기할때 쓰인다.
음식을 씹을 때에는 치아사이에 놓여 있는 음식물 뿐만아니라 턱관절에도
힘이 가해진다.
물리학적으로 턱은 지렛대, 턱관절은 지렛대받침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강하게 음식을 씹을때에는 치아보다 턱관절에 더 강한 힘이 받치게 된다.
따라서 턱관절은 강한 힘에 적응하고 어느 한곳만이 너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관절과 달리 관절사이가 꼭맞게 구성돼있지 않고
미끄러질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럼으로써 씹는 힘이 관절내의 넓은 면적에 분산되며 특정부위에 힘이
집중돼 관절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습관적으로 이를 강하게 문다든가, 잠잘때 치아를 부드득 가는 것은 관절의
연골을 빨리 손상하게 한다.
또 딱딱한 오징어나 껌을 장기간 씹거나 한쪽 치아가 나빠서 부득이 다른
한쪽 치아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턱관절의 어느 한곳에만 압력을 집중시켜
턱관절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한다.
턱관절장애로 연골이 파괴되면 음식물을 씹을 때의 압력이 파괴된 연골을
통해 신경에 도달하고 통증이 발생한다.
삼킨다든가 하품한다든가 이야기하거나 씹을때마다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나며 때로는 둔한 동통이 지속적으로 나타날수 있다.
통증의 초점은 주로 귀앞쪽의 턱관절에 있으며 이러한 통증은 어느
곳으로도 퍼져나갈수 있다.
한편 어떤 사람은 편두통이나 부비동(코안쪽의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질환
등의 통증때문에 턱관절에 통증이 나타난다.
턱관절장애시 통증외에 나타날수 있는 증상은 입을 크게 벌릴때 "딱"하는
소리가 크게 난다든지 턱이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나는 것이다.
이밖에 귀에서 귀울림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치아를 강하게 씹을때
심해진다.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초기에 발견된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어느 정도
증상을 호전시킬수 있다.
<>좌우로 균일하게 씹는다 <>이를 악물거나 갈지 않는다 <>턱을 앞으로
내밀거나 괴지 않는다 <>마른 오징어와 같이 강하게 씹어야 하는 음식을
피한다 <>가급적 부드러운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너무 무리하게 턱관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손상된 턱관절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루에
2번 정도 악관절부위에 열찜질 또는 냉찜질을 한다.
머리 목 어깨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머리를 앞뒤 좌우로 구부리고 목을
크게 회전시키는데 각각의 동작을 한번에 6~7회씩, 하루에 6회정도 실시하면
좋다.
단 운동범위를 벗어난 운동은 동통을 악화시킬수 있다.
그리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아스피린이나 다른 소염제를 사용한다.
치아교합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치과검사를 받은후 치아를 교정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9일자).
우리몸의 관절가운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중 하나가 턱관절이다.
턱관절은 귀앞쪽의 측두골과 하악골이 만나는 관절로 음식을 씹거나
이야기할때 쓰인다.
음식을 씹을 때에는 치아사이에 놓여 있는 음식물 뿐만아니라 턱관절에도
힘이 가해진다.
물리학적으로 턱은 지렛대, 턱관절은 지렛대받침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강하게 음식을 씹을때에는 치아보다 턱관절에 더 강한 힘이 받치게 된다.
따라서 턱관절은 강한 힘에 적응하고 어느 한곳만이 너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관절과 달리 관절사이가 꼭맞게 구성돼있지 않고
미끄러질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럼으로써 씹는 힘이 관절내의 넓은 면적에 분산되며 특정부위에 힘이
집중돼 관절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습관적으로 이를 강하게 문다든가, 잠잘때 치아를 부드득 가는 것은 관절의
연골을 빨리 손상하게 한다.
또 딱딱한 오징어나 껌을 장기간 씹거나 한쪽 치아가 나빠서 부득이 다른
한쪽 치아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턱관절의 어느 한곳에만 압력을 집중시켜
턱관절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한다.
턱관절장애로 연골이 파괴되면 음식물을 씹을 때의 압력이 파괴된 연골을
통해 신경에 도달하고 통증이 발생한다.
삼킨다든가 하품한다든가 이야기하거나 씹을때마다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나며 때로는 둔한 동통이 지속적으로 나타날수 있다.
통증의 초점은 주로 귀앞쪽의 턱관절에 있으며 이러한 통증은 어느
곳으로도 퍼져나갈수 있다.
한편 어떤 사람은 편두통이나 부비동(코안쪽의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질환
등의 통증때문에 턱관절에 통증이 나타난다.
턱관절장애시 통증외에 나타날수 있는 증상은 입을 크게 벌릴때 "딱"하는
소리가 크게 난다든지 턱이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나는 것이다.
이밖에 귀에서 귀울림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치아를 강하게 씹을때
심해진다.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초기에 발견된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어느 정도
증상을 호전시킬수 있다.
<>좌우로 균일하게 씹는다 <>이를 악물거나 갈지 않는다 <>턱을 앞으로
내밀거나 괴지 않는다 <>마른 오징어와 같이 강하게 씹어야 하는 음식을
피한다 <>가급적 부드러운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너무 무리하게 턱관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손상된 턱관절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루에
2번 정도 악관절부위에 열찜질 또는 냉찜질을 한다.
머리 목 어깨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머리를 앞뒤 좌우로 구부리고 목을
크게 회전시키는데 각각의 동작을 한번에 6~7회씩, 하루에 6회정도 실시하면
좋다.
단 운동범위를 벗어난 운동은 동통을 악화시킬수 있다.
그리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아스피린이나 다른 소염제를 사용한다.
치아교합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치과검사를 받은후 치아를 교정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