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샤프, 말레이시아 주정부와 합작 주문형 반도체 생산키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의 샤프는 18일 말레이시아의 사라와크주 정부와 ASIC(주문형반도체)
합작생산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사라와크주 정부는 오는 98년까지 총12억달러를 투자, 주도 쿠칭 인근에
ASIC공장을 건설할 계획인데 샤프는 이 공장건설 비용의 약 15%를 부담하고
생산기술도 제공키로 했다.
이 공장은 선폭 0.35미크론(1미크론은 1천분의 1mm)의 가공기술로
8인치웨이퍼 기준 월 2만4천개씩의 ASIC전공정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중앙정부는 사라와크주를 반도체중에서도 고도의 기술과 생산
관리를 필요로 하는 분야의 중심생산기지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이
ASIC공장에 자금지원은 물론, 10년간 법인세면세 등의 각종 세제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사라와크주 정부는 일샤프외 유럽과 미국의 반도체기업들의 자본및 기술도
끌어들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9일자).
합작생산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사라와크주 정부는 오는 98년까지 총12억달러를 투자, 주도 쿠칭 인근에
ASIC공장을 건설할 계획인데 샤프는 이 공장건설 비용의 약 15%를 부담하고
생산기술도 제공키로 했다.
이 공장은 선폭 0.35미크론(1미크론은 1천분의 1mm)의 가공기술로
8인치웨이퍼 기준 월 2만4천개씩의 ASIC전공정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중앙정부는 사라와크주를 반도체중에서도 고도의 기술과 생산
관리를 필요로 하는 분야의 중심생산기지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이
ASIC공장에 자금지원은 물론, 10년간 법인세면세 등의 각종 세제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사라와크주 정부는 일샤프외 유럽과 미국의 반도체기업들의 자본및 기술도
끌어들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