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S(개인휴대통신)사업자들의 기지국 공동이용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정보통신부는 19일 PCS CT-2(보행자전용휴대전화)TRS(주파수공용통신)
무선호출등 신규통신사업자가 대거 등장함으로써 기지국설치등에 따른 투자
및 전송로확보등의 각종 현안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정부.민간공동의
상설협의기구를 설치 운영키로 했다고 밝혔다.

"신규이동통신사업 지원협의회"로 이름붙여진 이 기구에는 정부측에서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지원국장이 위원장으로 참여하고 정통부 부가통신과장,
한국통신및 한국이동통신등 기존 통신망보유사업자, 신규이동통신사업자의
관계자들이 회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현재 3개 PCS사업자들이 각자 전국에 기지국을 세울 경우 약 3,000개가
필요하나 공동으로 세울 경우 1,000개정도로 가능,비용절감과 함께 설치
장소확보및 전자파장해등에 따른 반감등 문제점이 다소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협의회는 PCS의 경우 3개사업자가 기금조성을 통해 공동기지국을 설치
하거나, 지역분할을 통해 세우거나, 특정사업자가 세운 기지국을 이용료를
내고 사용하는 방안등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CT-2의 경우 기존 한국통신이 설치한 기지국을 015무선호출사업자들이
이용료를 내고 사용하는 방안등이 집중적으로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이 상설기구는 오는 9월초 첫 회의를 갖고 분기 1회정도의 전체모임과
서비스별 분과협의회를 활성화해 현안이 있을 때마다 회의를 갖고 대책을
논의키로 했다.

< 윤진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