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자민련 통합론 또 "고개" .. 추진까지는 "산넘어 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한국당과 자민련이 "공조체제"를 구축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지 한달이
가까워 오면서 내각제 개헌을 고리로한 "양당통합론"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7월부터 흘러나온 양당간의 공조체제 구축설이 신한국당측에서 먼저
흘러 나왔을때 박빙의 여대야소 정국에서 정기국회 등을 대비한 "야권공조
허물기"가 아니겠느냐며 의혹의 눈길을 보냈던 측이 자민련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여권체질에 익숙해온 상당수 자민련 중하위
당직자나 일반의원 사무처요원들은 "이번 기회에 합당까지 검토해야한다"
면서 상당한 "기대"까지 걸고 있다.
이번에는 자민련측에서 합당추진설이 제기되고 있는 셈이다.
자민련측의 양당통합론은 그러나 양당이 공생할수 있는 내각제 개헌을
전제로 하고 있다.
양당의 실무자들간에는 통합추진여부와 그 가능성을 탐문하는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 당대당 통합협상이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도 확인되지 않고
양당수뇌부간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 같지도 않은데도 합당론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 것은 차기정권창출과 관련해 두당 나름대로 고민을 안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신한국당은 대권후보의 난립으로 벌써부터 당의 불협화음이 문제가 되고
있고 급기야 당총재인 김영삼대통령이 지난 19일 대권후보들의 움직임에
경고 메세지를 보내지 않을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자칫 당내에서의 후보사전조정에 실패하거나 공정경선이 되지 못할 경우
당이 쉽게 분열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신한국당의 일부 대권후보들은 자신들이 후보가 되지 못할 경우 탈락한
타후보와 자민련 김종필총재와 연대, 대연합을 이룰경우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할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이들은 이같은 상황에 대비해 JP와의 유대를 훼손시키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김대통령이 자신의 임기중 개헌이 절대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지만
여권의 차기후보 선정과 관련해 김대통령으로서도 마땅한 대안이 없을 경우
내각제를 수용하는 등의 대변신을 모색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와관련, 김수한국회의장이 최근 대통령중임제 개헌을 언급한 것도
개헌논의의 물꼬를 열어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고 있다.
자민련의 경우도 현행헌법하에서 단독으로 "JP대통령" 만들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고 대안으로 내각제를 받아들일수 있는
타정파와의 연대를 추진하고 있다.
자민련 핵심인사들은 어느 정파와도 손을 잡을수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지지기반이 전혀다른 국민회의와의 연대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또 국민회의측이 사실상 야권통합 차원에서 자민련을 끌여들일지는 몰라도
자민련이 주도하는 내각제를 받을 가능성은 거의 전무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결국 자민련이 연대할수 있는 타정파란 현 정치권에서는 신한국당의
대권후보 결정과정에서 뛰쳐나올 세력밖에는 없다는 얘기다.
신한국당의 일부대권주자들이 여권후보가 되지못할 경우 자신을 중심으로한
JP와의 연대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라면 JP측은 반대로 이들을 한데묶어
"JP대통령" 만들기를 추진하겠다는 전략이다.
일부 자민련 관계자들은 그러나 내각제를 고리로 자민련이 먼저 신한국당과
의 통합을 제의하게 될 경우 JP나 자민련의 위상이 왜소화될 우려가 있다며
오히려 현행대통령 직선제하에서의 "JP후보 조기가시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현재까지는 이같이 양측관계자들간에 기대섞인 통합론에 불과하지만
벌써부터 양당의 몇몇 중진들간에는 이와관련한 물밑 대화가 오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진들간의 대화도 올 정기국회가 끝난뒤 활기를 띠게 될
여권내의 차기대권후보 논의를 지켜본 뒤에라야 실현 가능성을 가늠해 볼수
있을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내각제를 전제로한 양당통합론은 신한국당으로서는 안정적 정권재창출
의 방편으로써, 자민련으로서는 "초대총리 JP"를 전제로 한 것이어서 통합
협상이 추진되더라도 넘어야할 산이 너무 많다는 지적이다.
< 박정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1일자).
가까워 오면서 내각제 개헌을 고리로한 "양당통합론"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7월부터 흘러나온 양당간의 공조체제 구축설이 신한국당측에서 먼저
흘러 나왔을때 박빙의 여대야소 정국에서 정기국회 등을 대비한 "야권공조
허물기"가 아니겠느냐며 의혹의 눈길을 보냈던 측이 자민련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여권체질에 익숙해온 상당수 자민련 중하위
당직자나 일반의원 사무처요원들은 "이번 기회에 합당까지 검토해야한다"
면서 상당한 "기대"까지 걸고 있다.
이번에는 자민련측에서 합당추진설이 제기되고 있는 셈이다.
자민련측의 양당통합론은 그러나 양당이 공생할수 있는 내각제 개헌을
전제로 하고 있다.
양당의 실무자들간에는 통합추진여부와 그 가능성을 탐문하는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 당대당 통합협상이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도 확인되지 않고
양당수뇌부간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 같지도 않은데도 합당론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 것은 차기정권창출과 관련해 두당 나름대로 고민을 안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신한국당은 대권후보의 난립으로 벌써부터 당의 불협화음이 문제가 되고
있고 급기야 당총재인 김영삼대통령이 지난 19일 대권후보들의 움직임에
경고 메세지를 보내지 않을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자칫 당내에서의 후보사전조정에 실패하거나 공정경선이 되지 못할 경우
당이 쉽게 분열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신한국당의 일부 대권후보들은 자신들이 후보가 되지 못할 경우 탈락한
타후보와 자민련 김종필총재와 연대, 대연합을 이룰경우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할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이들은 이같은 상황에 대비해 JP와의 유대를 훼손시키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김대통령이 자신의 임기중 개헌이 절대 없을 것이라고 공언했지만
여권의 차기후보 선정과 관련해 김대통령으로서도 마땅한 대안이 없을 경우
내각제를 수용하는 등의 대변신을 모색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와관련, 김수한국회의장이 최근 대통령중임제 개헌을 언급한 것도
개헌논의의 물꼬를 열어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고 있다.
자민련의 경우도 현행헌법하에서 단독으로 "JP대통령" 만들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고 대안으로 내각제를 받아들일수 있는
타정파와의 연대를 추진하고 있다.
자민련 핵심인사들은 어느 정파와도 손을 잡을수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지지기반이 전혀다른 국민회의와의 연대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또 국민회의측이 사실상 야권통합 차원에서 자민련을 끌여들일지는 몰라도
자민련이 주도하는 내각제를 받을 가능성은 거의 전무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결국 자민련이 연대할수 있는 타정파란 현 정치권에서는 신한국당의
대권후보 결정과정에서 뛰쳐나올 세력밖에는 없다는 얘기다.
신한국당의 일부대권주자들이 여권후보가 되지못할 경우 자신을 중심으로한
JP와의 연대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라면 JP측은 반대로 이들을 한데묶어
"JP대통령" 만들기를 추진하겠다는 전략이다.
일부 자민련 관계자들은 그러나 내각제를 고리로 자민련이 먼저 신한국당과
의 통합을 제의하게 될 경우 JP나 자민련의 위상이 왜소화될 우려가 있다며
오히려 현행대통령 직선제하에서의 "JP후보 조기가시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현재까지는 이같이 양측관계자들간에 기대섞인 통합론에 불과하지만
벌써부터 양당의 몇몇 중진들간에는 이와관련한 물밑 대화가 오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진들간의 대화도 올 정기국회가 끝난뒤 활기를 띠게 될
여권내의 차기대권후보 논의를 지켜본 뒤에라야 실현 가능성을 가늠해 볼수
있을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내각제를 전제로한 양당통합론은 신한국당으로서는 안정적 정권재창출
의 방편으로써, 자민련으로서는 "초대총리 JP"를 전제로 한 것이어서 통합
협상이 추진되더라도 넘어야할 산이 너무 많다는 지적이다.
< 박정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