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사랑방] 역버블지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은 누구나 목표수익률을 생각하게 된다.
물론 갖가지 대료를 가진 단기급등종목의 잦은 출현으로 엄청난 수익률을
기대할수도 있다.
그렇다면 주식투자를 저축의 한 형태로 볼때 적정수익률은 어느 정도인가?
80년 종합주가지수 100P 기준시점이래 연평균 주가상승률은 95년말기준
14.6%로 같은 기간동안의 경제성장률(7.85%)이나 대체관계인 금리와
비교할때 주식투자자들은 괜찮은 보상을 받았다.
그러나, 90년이후 주식시장은 꾸준한 경제성장에도 불구 절대 종합주가지수
는 오히려 하락하는 역버블현상을 보이고 있다.
선의의 주식시장 참여자들이 적정한 보상을 받고, 주식시장이 본연의
제기능을 발휘할수 있는 제대로된 증시를 기대해 본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4일자).
물론 갖가지 대료를 가진 단기급등종목의 잦은 출현으로 엄청난 수익률을
기대할수도 있다.
그렇다면 주식투자를 저축의 한 형태로 볼때 적정수익률은 어느 정도인가?
80년 종합주가지수 100P 기준시점이래 연평균 주가상승률은 95년말기준
14.6%로 같은 기간동안의 경제성장률(7.85%)이나 대체관계인 금리와
비교할때 주식투자자들은 괜찮은 보상을 받았다.
그러나, 90년이후 주식시장은 꾸준한 경제성장에도 불구 절대 종합주가지수
는 오히려 하락하는 역버블현상을 보이고 있다.
선의의 주식시장 참여자들이 적정한 보상을 받고, 주식시장이 본연의
제기능을 발휘할수 있는 제대로된 증시를 기대해 본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