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대만간 양안관계가 급속도로 호전되면서 국내 해운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23일 해양수산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정부가 중국~대만간
항로를 "특수관리의 국내운수"로 규정, 양안간 컨테이너직항로 개설
움직임을 가시화하고 있고 대만도 본토와의 직항로개설 및 주권반환
이후 홍콩~대만간 노선개설협상에 적극 나섬에 따라 현행 한국~중국간
중개화물의 상당부분을 대만으로 빼앗길 공산이 커지고 있다.

해양부는 이날 중국과 대만간 직항 서비스가 시작될 경우 현행
한.중항로의 총 컨테이너물동량 57만TEU중 최대 27만TEU, 최소 1만8천
9백TEU의 중개화물이 중국~대만항로로 돌려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해양부는 이 경우 그동안 부산항에서 한.중간 중개화물환적비 항만
이용료 등으로 벌어들이던 수익금이 크게 줄게돼 연간 최대 2백억원의
손실을 입게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관계자들은 이와관련, 중국상해이북지역의 중개화물 가운데
유럽행 화물은 대만쪽이 지리적으로 유리해 현행 중국~부산항간 중개
화물의 대부분이 대만쪽으로 전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북미행 화물도 부산항이 지리적으로는 유리하나 중국~대만간을
"내항"으로 간주하는 중국의 입장과 중국.대만인 특유의 "중화주의"
사상을 감안할때 조건이 다소 불리하더라도 물량을 대만으로 몰아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환적물량감축에 따른 손실금액의 다과를 떠나 남중국 물동량의
대부분이 이미 홍콩으로 집중되고 있는 상황인데다 이처럼 중국중부지역
물동량마저 대만 카오슝항이나 기륭항 등으로 쏠릴 경우 주요 해외선사
들의 한국기항 기피현상이 심화돼 부산항 등이 동북아 컨테이너기간항로
망에서 배제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따라 해양부는 중국과 대만정부가 양안간 항운관리방법을 놓고
"내항"원칙에 합의할 경우 외국선사가 중국이나 대만의 어느 한쪽
항만에는 기항할 수 있으나 양안을 오가며 화물을 환적할 수는 없게되는
점을 감안, 중국정부와 외교경로 및 실무접촉을 통해 양안간이 "내항"
으로 규정되더라도 양안간 직항 또는 중개화물 및 여객운송에 우리
선사도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키로 했다.

< 김삼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