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기조강연>

1.중국에서의 동아시아과학사연구의 현황(중.석택종)
2.동아시아에서의 중국과학의 전파(일.중산무)
3.역사서술에서의 자부심과 편견:동양과학사의 경우(한.박성래)

27일

심포지엄 1 : 서양과학과 동양과학의 전환(6편)

분과회의A

A1.과학의 문화간 비교및 상호영향(4편)
A2.전통수학과 수학문헌들(3편)
A3.동아시아에서의 서양의학(4편)

분과회의B

B1.과학과 종교(3편)
B2.빛 밀도및 소리의 과학(3편)
B3.언어와 명명법(3편)
B4.한대의 천문학과 점성술(3편) 니덤추모강연(3편)

28일

심포지엄 2 : 동아시아 사회들에서의 의료종사자(6편)

분과회의C

C1.특별분과회의 : 몽계필담(4편)
C2.동아시아과학의 개념과 개념체계들(4편)
C3.고대중국의학의 제문제(4편)
C4.17, 18세기의 수리과학(4편)

국제동아시아과학사회의 총회

29일

심포지엄 3 : 현대동아시아사회에서의 과학제도(4편)

분과회의D

D1.제왕 환관 관료및 은둔자들-동아시아과학 종사자의 제유형(4편)
D2.기술사1, 금속및 제염(4편)
D3.티벳 베트남및 한국의 의학(4편)
D4.계산법및 수학적 방법들(4편)

분과회의E

E1.동아시아과학에서의 공간의 개념들(3편)
E2.기술사2, 벽돌 타일및 나사(3편)
E3.현대과학기관들(3편)
E4.동아시아에서의 서양천문학및 수학(3편)

30일

심포지엄 4 : 동아시아전통과학의 지적배경(4편)

31일

분과회의F

F1.고대중국의 천지관(4편)
F2.과학모형및 도형(3편)
F3.과학서적및 지도(3편)
F4.동아시아에서의 현대과학(3편)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