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면톱] 대우통신-KNC, 디지털 광전송망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에서도 광전송망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TV시대가 열렸다.
대우통신은 대영전자 미국INC및 KNC사등과 공동으로 FTTC(인구밀집지역
까지 광케이블로 연결)방식의 디지털광전송망을 개발, 서울
은평유선방송국과 송파구 거여동 아파트지역을 연결해 디지털 케이블TV
시범서비스에 들어간다고 27일 발표했다.
이 광전송망은 하나의 회선으로 가정에 설치된 세트톱박스를 통해
케이블TV방송은 물론 직접위성방송(DBS) 인터넷접속 주문형비디오(VOD)
홈쇼핑등 멀티미디어서비스를 받을수있는 FSN(풀서비스네트워크)으로
설계됐다.
FSN은 하나의 회선에 각 서비스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여러종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있는 것으로 서비스내용에 따라 여러개의
망을 구축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대우통신컨소시엄은 이 서비스를 위해 서울은평유선방송국-한국통신
불광전화국-혜화전화국-가락전화국-거여동 아파트단지입구의 원격분배장치
까지 ATM(비동기전송방식)을 기초로 한 1백55Mbps급 광케이블망으로
연결했다.
영상데이터는 동영상압축해제의 국제표준방식인 MPEG2로 보내진다.
원격분배장치부터 각 가정의 세트톱박스까지는 기존 구리전화선을 통해
25Mbps급 속도로 연결이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은평유선방송국은 이 시스템을 통해 우선적으로 디지털케이블TV와
직접위성방송 등 2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입자들은 특히 인터넷을 접속할 경우 기존 28.8Kbps급 모뎀보다
208배가량 빠른 6Mbps급 속도로 접속이 가능하다.
대우통신측은 내년 3월경부터 본격적인 상용서비스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윤진식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8일자).
대우통신은 대영전자 미국INC및 KNC사등과 공동으로 FTTC(인구밀집지역
까지 광케이블로 연결)방식의 디지털광전송망을 개발, 서울
은평유선방송국과 송파구 거여동 아파트지역을 연결해 디지털 케이블TV
시범서비스에 들어간다고 27일 발표했다.
이 광전송망은 하나의 회선으로 가정에 설치된 세트톱박스를 통해
케이블TV방송은 물론 직접위성방송(DBS) 인터넷접속 주문형비디오(VOD)
홈쇼핑등 멀티미디어서비스를 받을수있는 FSN(풀서비스네트워크)으로
설계됐다.
FSN은 하나의 회선에 각 서비스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여러종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있는 것으로 서비스내용에 따라 여러개의
망을 구축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대우통신컨소시엄은 이 서비스를 위해 서울은평유선방송국-한국통신
불광전화국-혜화전화국-가락전화국-거여동 아파트단지입구의 원격분배장치
까지 ATM(비동기전송방식)을 기초로 한 1백55Mbps급 광케이블망으로
연결했다.
영상데이터는 동영상압축해제의 국제표준방식인 MPEG2로 보내진다.
원격분배장치부터 각 가정의 세트톱박스까지는 기존 구리전화선을 통해
25Mbps급 속도로 연결이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은평유선방송국은 이 시스템을 통해 우선적으로 디지털케이블TV와
직접위성방송 등 2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입자들은 특히 인터넷을 접속할 경우 기존 28.8Kbps급 모뎀보다
208배가량 빠른 6Mbps급 속도로 접속이 가능하다.
대우통신측은 내년 3월경부터 본격적인 상용서비스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윤진식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