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은 문민정부출범이후 농업과 농촌이 좋아졌다고 느끼고 있으며
쌀산업의 미래도 희망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장 절실한 문제로는 농산물가격.수급안정을 위한 유통개선과
농어촌 복지향상 등을 꼽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박상우)은 농림부의뢰로 최근 전국 2천1백
12명의 농민들을 대상으로 "쌀산업발전종합대책 및 2단계 농정개혁"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따르면 농민들은 문민정부이후 농업과 농촌이 크게 좋아졌으며
(76.8%)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 것(73.5%)으로 응답,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가장 나아진 분야로는 경지정리와 기계보급으로 농사짓기가 편해진 것
(45.7%)을 꼽았고 농어민복지증진(22.4%) 농어촌생활여건개선(14.7%)
등이 그다음이었다.

"쌀산업발전 종합대책 및 2단계 농정개혁"에 대해서는 65.4%가 내용을
알고 있었는데 직접지불제도도입에 가장 깊은 관심(57.6%)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의 관심사항은 약정수매제도도입(19.2%) 벼재배면적확보를 위한
농지보전시책강화(12.5%) 수출농업.기술농업의 비전(7.5%) 특례입학정원
확대와 공중보건한의사제도도입(2.9%)등의 순이었다.

농민들은 약정수매제도에서 수매량과 수매가격의 사전예시(44.9%)와
약정이행여부를 농가가 자율선택(22.3%)하는 점, 하한가격보장(16.6%)
영농준비기에 선도금지급(13.3%) 등을 잘됐다고 느끼고 있었다.

쌀생산농가의 소득지원차원에서 실시되는 직접지불제도가 농가소득
증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85%)했다.

쌀자급과 관련한 농지제도에 대해서 농지가 농업목적으로 계속 보전돼야
한다(58%)고 생각하는 농민들이 훨씬 많았으나 논에 타작물재배허용해야
한다거나(44%), 재산권보장차원에서 타작물재배나 농업이외 목적으로
전용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40.3%에 달해 아직 쌀의 수익성이
큰 문제가 되고있음을 반증했다.

약정수매제 직불제도입 등 "쌀산업발전 종합대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쌀자급기반이 유지될 것으로 보는 등 쌀산업의 미래를 낙관하고
있었다(83.8%).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