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과 정부가 M&A(인수합병)하는 상호신용금고와 우량 상호신용금고에
대해서는 지점을 허용해 주기로 함에 따라 금고업계의 재편이 빨라질
전망이다.

정부와 신한국당은 능력있는 금고가 M&A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할수 있도록
인수요건을 대폭 완화하고 금고간 합병시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바뀐 인수요건을 보면 이전에는 동일영업구역내에서만 금고가 금고를
인수할수 있도록 했던 것을 합병이 아닌 경우에는 다른 영업구역의 금고도
가능하도록 바꿨다.

이에 따라 대형금고들은 해당 시.도뿐만 아니라 다른 시.도의 금고들도
살수 있게 됐다.

현재 서울 지역의 일부 대형금고들은 지방의 금고들을 대상으로 M&A를
추진하고 있다.

지방 소형금고들은 최근들어 영업여건이 악화돼 "경영권 프리미엄"이 남아
있을 때 매각을 희망하고 있어 상당수의 지방금고들이 서울 대형금고들에
합병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렇게 M&A를 이룬 금고들에게는 지점설립이 허용되고 장기저축마련저축을
취급할수 있게되는 등 경쟁력이 높아지게 돼 대형화가 급속도로 진전될
전망이다.

이와함께 정부는 우량금고를 중심으로 차별화정책을 추진키로 했다.

전국 236개 금고에 대해 경영평가를 실시해 이중 상위 10%(24개금고)에
대해서는 지점설립과 신상품판매 등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다.

우량금고의 기준은 자기자본이 많고 경영이 전전한 금고로 한다는 것이
재경원의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동부 해동 한솔 사조 신신 제일 신대한등 서울대형금고들과
한국(인천) 대양(안양) 창업(광주) 부산(부산) 등 지방의 일부 금고들은
우량금고로 지정돼 지점설립이 가능해질 것이라는게 업계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이렇게 보면 금고는 대형화를 이룬 금고들과 그렇지 못한 금고들간의
경쟁력이 더욱 벌어져 금고업계의 재편이 급속도로 지전될 전망이다.

현재 서울의 대형금고들은 지점을 설립하거나 다른 금고를 사들여 대형화를
이룬 다음 지방은행 등으로 업종전환을 이룬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일본의 금고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M&A를 통한 업종전환을 이룬 전례가
그대로 적용될 것으로 업계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한편 지방금고들은 "지역금융기관 정착"으로 생존전략으로 삼고 있다.

자기자본이 50억원미만이 대부분인 지방금고들은 대형화 경쟁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 지역밀착경영에 더욱 힘쓴다는 계획이다.

한편 금고업계는 지점설립이나 장기주택마련저축을 취급할수 있는
"우량금고"에 대한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할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금고지점설립 허용이 올해 한번뿐인지 아니면 매년 이뤄질 것인지도
뚜렷하지 않아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는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 박준동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