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국제수지적자의 주범으로 "해외여행"을 지목, OCS사
등 15개 대형여행사에 대해 특별세무조사까지 실시하자 해당여행사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세무조사대상 여행사의 이유있는 항변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목소리는 소비자들이나 관광업계종사자들로부터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동안 여행업계는 여행업설립이 자율화된이후 전국에
4,000여개의 여행사(국내여행업 포함)가 난립, 과당경쟁을 하는 가운데
소비자와 관련관광업계로부터 빈번한 계약위반 등으로 "신뢰"와 "신용"을
상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에 세무조사대상에 포함된 여행사들은 최근 수년내에 기록적인
모객성장률을 올린 신생여행사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들은
1년에 최고 50억원이 넘는 돈을 광고비용으로 쓰면서 여행업계에 이른바
"신문전면광고전쟁"을 몰고 온 당사자들이다.

여행업계에서는 "광고전쟁"이 전반적인 해외여행패키지상품의 가격을
낮추는데 기여한 것은 인정하지만 이러한 저가경쟁은 결국 부실관광으로
이어져 역효과를 증폭시킨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국내 여행사들은 그동안 저가상품판매와 막대한 광고비지출 등에
대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해외현지여행사(랜드사)에 원가에 못
미치는 지상비를 제공, 결과적으로 랜드사들의 쇼핑강요 등을 조장한
면도 없지 않다.

이에따라 동남아는 물론 유럽 괌 호주등지의 랜드사들의 신용이
현지 관광업계에서 극도로 떨어지고 전체적인 한국인의 이미지도
크게 훼손시키는 결과를 빚기도 했다.

그래서 관광전문가들은 정부가 특별세무조사 등의 위압적인 조치를
동원하기보다는 여행업의 문란한 시장질서와 부조리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근본적인 개선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