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무 한개 500원 올라 2,500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채소류가 가을장마에 따른 일기불순으로 일부 품목이 오름세를
나타내는 강세권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강원도 고랭지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는 무가 썩은 물량이
늘어난데다 수요증가로 상품이 개당 2,500원선에 거래되는 높은
시세를 나타내고 있다.
과일류는 아직까지 물량이 많지 않은 복숭아(미백), 사과(아오리)
등이 비교적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고 수박 참외 포도 등은 약세권을
지속하고 있다.
수산물은 고등어 생태 꽁치 갈치 등 대중선어류의 반입량이 서서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갈치의 경우 씨알이 굵은 대갈치의 반입이 크게 줄어들어
상품이 마리(2.2g정도)당 3만5,000원을 호가하는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곡물류는 일반미가 지난번 공매 물량이 거의 소진되면서 도매단계에서
소폭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 가락동농산물시장 >>
주초에 내린 비로 썩은 물량이 늘어난 무가 개당 상품이 500원이
껑충 뛰어 2,500원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 알타리무도 상품이 한단에 500원이 상승해 3,500원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일기불순으로 생육이 부진한 양송이와 느타리버섯이 400g당
2,000원과 1,000원이 올라 5,000원과 4,000원에 팔리고 있다.
수요가 늘어난 풋고추와 홍고추도 상품이 400g당 500원씩 뛰어
2,000원과 1,500원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물량이 늘어난 흰상추는 상품이 400g당 700원이 떨어져
800원에 팔리고 있고 양파와 셀러리도 상품이 kg당 200원과 500원이
하락해 800원과 2,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과일류는 복숭아 미백이 개당 3,500원의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사과 아오리도 상품이 개당 1,500원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참외는 철이 지나면서 상품이 개당 500원이 떨어져 1,000원에,
수박은 상품이 통(10g정도)당 1만2,000원선의 약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 노량진수산시장 >>
제철이 다가오면서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는 고등어가 중품이 마리당
1,500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생태는 씨알이 적은 하품이 많이 반입돼 마리당 1,000원선에 판매가
활기를 띠고 있다.
또 꽁치는 원양산의 반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상품이 마리당
400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생물오징어도 물량이 증가, 상품이 마리당
1,500원의 비교적 낮은 시세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산낙지는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자 상품이 마리당 2,000원이
껑충 뛰어 6,500원의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 곡물류 >>
일반미가 도매단계에서 소폭 상승세를 나타냈으나 소매단계에서는
상승폭이 적어 경기미가 20kg 부대당 지역에 따라 4만2,000~4만6,000원
선에, 호남미는 20kg 부대당 3만8,000원-4만1,000원선의 보합세가
지속되고 있다.
< 조재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31일자).
나타내는 강세권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강원도 고랭지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는 무가 썩은 물량이
늘어난데다 수요증가로 상품이 개당 2,500원선에 거래되는 높은
시세를 나타내고 있다.
과일류는 아직까지 물량이 많지 않은 복숭아(미백), 사과(아오리)
등이 비교적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고 수박 참외 포도 등은 약세권을
지속하고 있다.
수산물은 고등어 생태 꽁치 갈치 등 대중선어류의 반입량이 서서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갈치의 경우 씨알이 굵은 대갈치의 반입이 크게 줄어들어
상품이 마리(2.2g정도)당 3만5,000원을 호가하는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곡물류는 일반미가 지난번 공매 물량이 거의 소진되면서 도매단계에서
소폭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 가락동농산물시장 >>
주초에 내린 비로 썩은 물량이 늘어난 무가 개당 상품이 500원이
껑충 뛰어 2,500원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 알타리무도 상품이 한단에 500원이 상승해 3,500원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일기불순으로 생육이 부진한 양송이와 느타리버섯이 400g당
2,000원과 1,000원이 올라 5,000원과 4,000원에 팔리고 있다.
수요가 늘어난 풋고추와 홍고추도 상품이 400g당 500원씩 뛰어
2,000원과 1,500원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물량이 늘어난 흰상추는 상품이 400g당 700원이 떨어져
800원에 팔리고 있고 양파와 셀러리도 상품이 kg당 200원과 500원이
하락해 800원과 2,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과일류는 복숭아 미백이 개당 3,500원의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사과 아오리도 상품이 개당 1,500원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참외는 철이 지나면서 상품이 개당 500원이 떨어져 1,000원에,
수박은 상품이 통(10g정도)당 1만2,000원선의 약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 노량진수산시장 >>
제철이 다가오면서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는 고등어가 중품이 마리당
1,500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생태는 씨알이 적은 하품이 많이 반입돼 마리당 1,000원선에 판매가
활기를 띠고 있다.
또 꽁치는 원양산의 반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상품이 마리당
400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생물오징어도 물량이 증가, 상품이 마리당
1,500원의 비교적 낮은 시세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산낙지는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자 상품이 마리당 2,000원이
껑충 뛰어 6,500원의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 곡물류 >>
일반미가 도매단계에서 소폭 상승세를 나타냈으나 소매단계에서는
상승폭이 적어 경기미가 20kg 부대당 지역에 따라 4만2,000~4만6,000원
선에, 호남미는 20kg 부대당 3만8,000원-4만1,000원선의 보합세가
지속되고 있다.
< 조재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