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 강삼재총장의 "20억+알파설" 발언에 대한 검찰의 불기소처분에
국민회의가 강력 반발, 무혐의 처리를 규탄하기 위한 대대적인 공세에
들어갔다.

국민회의는 2일 조세형 총재권한대행 주재로 간부회의를 열어 검찰이
김대중총재의 "20억+알파설"을 유포해 명예훼손혐의로 고소된 강총장을
불기소처분한데 따른 대응책을 논의, 단계별로 대여 강경투쟁을 벌이기로
결정했다.

단계별 투쟁내용에는 검찰청사 항의방문, 항고및 헌법소원과 "흑색선전"
혐의로 강총장을 재고소하는 등 법적투쟁뿐 아니라 특별당보 배포와 지구당
현수막게시 대국민서명운동 장외대중집회 등 가능한 모든 정치적 투쟁이
포함돼 있다.

정동영 대변인은 "강총장이 단순히 총재의 명예를 훼손했기 때문에
이러는게 아니다"며 "동교동을 통해 정치에 입문한 강총장이 김총재를
그런식으로 매도한 것은 패륜행위이며 그런 사람과는 정치를 함께 할수
없다는게 당의 기류"라고 말했다.

국민회의는 간부회의 결정에 따라 3일 조총재권한대행 등 당지도부와
소속의원들을 동원, 서울역 시청앞 등 서울시내 주요 지점에서 검찰과
강총장을 규탄하는 특별당보를 배포키로 했다.

또 전국 각 지구당사에 여당규탄 플래카드를 내걸기로 하고 "검찰은 즉각
강총장을 기소 처벌하라" "신한국당은 즉각 강총장을 해임하라" "김영삼
대통령은 대선자금을 즉각 공개하라" 등 세종류의 플래카드를 제작, 배포에
나섰다.

이와함께 국회 법사위소집을 요구, 강총장을 불기소처분한 법적 근거를
추궁하는 한편 검찰을 상대로 항의전화걸기운동을 벌일 방침이다.

국민회의는 한걸음 더 나아가 14대 대선당시 민자당에 제공된 대선자금
내역을 파악하기 위해 노태우씨 측근들과 접촉하는 한편 현 정권이 김총재
에게 가한 "탄압사례"를 취합, "김대중 죽이기"사례 보고회도 갖기로 했다.

국민회의는 검찰의 강총장 불기소처분을 계기로 대여총공세를 펼쳐
검찰의 중립화문제를 다시한번 쟁점화하고 문민정부의 도덕성에도 일대
타격을 가한다는 전략인 것 같다.

또 김상현 지도위의장의 잇따른 대권도전발언 등으로 비쳐지는 당내분
양상을 봉합하기 위해 여론을 당밖으로 돌리려는 전술을 구사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국민회의는 다가오는 정기국회회기중에도 강총장 불기소처분문제를
다목적카드로 활용하기위해 파상적인 대여공세로 나올 것이라는게 정가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국민회의의 총공세 움직임에 대해 신한국당은 법적처리사안에 대해
정치권이 왈가왈부하는 것은 정치공세에 불과하다고 일축하면서도
국민회의의 공세강도을 봐가며 다각적인 반격방안을 강구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철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국민회의가 정치공세를 펴는 것은 국민의
수준을 완전무시하는 정치적 폭거"라고 규정, "국민회의가 사법부에
법적처리를 요구했으면 법적처리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총장도 이날 월례조회에서 "야당의 합리적 요구는 적극 수용해
나가겠지만 정략적인 공세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며 국민회의
공세를 좌시하지만은 않겠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내비쳤다.

강총장 불기소처분을 둘러싼 국민회의와 신한국당의 대치양상은 결국
내년 대선을 앞둔 "기세싸움"의 일환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런 맥락에서 "김총재가 노씨로부터 적어도 20억원을 받았다"며 김총재의
도덕성에 상처를 입히려는 신한국당과 총재의 불명예를 풀겠다는 국민회의간
싸움은 어쩌면 보다 큰 전투를 앞둔 전주곡 같다.

<김호영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