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클린턴 반대 불구 경기과열 처방..미 FRB, 금리 인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중앙은행인 FRB의 금리인상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금리인상은 대선을 앞두고 있는 클린턴 대통령에게는 별로 내키지 않는
방향이다.
대통령경제자문위원회(CEA)는 올해 실질경제성장률 목표를 2.6%로 잡고서
고달러유지, 적정수준의 물가관리, 또 금리인상억제를 경제운용의 기본지침
으로 삼고 있다.
CEA는 2.6% 성장을 전제로 현재의 달러환율이나 물가상승률을 보면 미
경기가 내실있는 상승기조를 다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정책수립상 대통령의 권한밖에 있는 FRB의 시각은 이와 전혀
다르다.
2.4분기 성장률이 당초 추정치 보다 훨씬 높은 4.8%에 달했고, 고용시장
이나 소비지출의 증가추이를 보면 경기과열징후가 뚜렷하다는게 FRB이사들의
일반적 생각이다.
특히 미구매관리자협회(NAPM)가 3일 경기확장세에 가속이 붙고 있다고
발표해 FRB의 금리인상 불가피론에 더욱 힘을 실어줬다.
8월의 NAPM지수는 52.6으로 한달만에 2.4포인트 올라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앨런 그린스펀 FRB의장이 지난 7월중순 의회에 출석해 임금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박을 지적하면서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지적한 뒤로
2.4분기 실질성장률 상향수정된 상황이기 때문에 FRB 이사들의 인상지지
분위기는 사뭇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다 이번 이라크 사태로 유가가 오르고 이에따라 인플레심리가 유발
되고 있는 것도 금리인상의 당위성을 보강해 주는 대목이라고 할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5일자).
금리인상은 대선을 앞두고 있는 클린턴 대통령에게는 별로 내키지 않는
방향이다.
대통령경제자문위원회(CEA)는 올해 실질경제성장률 목표를 2.6%로 잡고서
고달러유지, 적정수준의 물가관리, 또 금리인상억제를 경제운용의 기본지침
으로 삼고 있다.
CEA는 2.6% 성장을 전제로 현재의 달러환율이나 물가상승률을 보면 미
경기가 내실있는 상승기조를 다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정책수립상 대통령의 권한밖에 있는 FRB의 시각은 이와 전혀
다르다.
2.4분기 성장률이 당초 추정치 보다 훨씬 높은 4.8%에 달했고, 고용시장
이나 소비지출의 증가추이를 보면 경기과열징후가 뚜렷하다는게 FRB이사들의
일반적 생각이다.
특히 미구매관리자협회(NAPM)가 3일 경기확장세에 가속이 붙고 있다고
발표해 FRB의 금리인상 불가피론에 더욱 힘을 실어줬다.
8월의 NAPM지수는 52.6으로 한달만에 2.4포인트 올라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앨런 그린스펀 FRB의장이 지난 7월중순 의회에 출석해 임금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박을 지적하면서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지적한 뒤로
2.4분기 실질성장률 상향수정된 상황이기 때문에 FRB 이사들의 인상지지
분위기는 사뭇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다 이번 이라크 사태로 유가가 오르고 이에따라 인플레심리가 유발
되고 있는 것도 금리인상의 당위성을 보강해 주는 대목이라고 할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