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의 경제적 기능중 하나는 선물 가격을 통해 기초 자산의 미래 가격을
예측해 볼수 있는 가격 예시 기능이다.

기초 자산을 생산하거나 소비하고자 하는 사람은 선물 가격에 반영된
기초 자산의 미래 가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생산과 소비를
조절할수 있다.

기초 자산의 현재 가격보다 미래의 가격이 더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경우,
생산자는 미래의 출하량을 늘리기 위해 재고 상태로 보유하거나 미래의
생산량을 늘리려는 노력을 행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는 현재 사정에 많이 구매하여 미래의 소비에 대비할수 있다.

선물의 가격 예시기능은 주가에 영향을 미칠 특정 정보가 현물보다는
선물에 보다 빠르게 반영되기 때문에 주가지수 선물은 한 종목의 가격만
변하면 되지만, 주가지수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주가지수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목(KOKPI200의 경우 200종목)의 가격에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로는 거래에 필요한 자금의 규모에 따른 것인데, 선물은 증거금만으로
거래가 가능하므로 정보의 가치를 반영하기에 충문한 거래를 할수 있는
반면, 주식 거래는 거래 대금 전액이 필요하므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선물의 최종 결제가 미래 시점에 일어나므로 최종 결제 시점까지의
가격 변화에 대한 예상치가 선물 가격에 반영될수 밖에 없다.

물론 이런 가격 예시 현상은 일시적이며 짧은 기간 동안 주가지수에
선행하여 선물 가격이 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왜냐하면 미래 예상에 의한 가격 변화로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의 차이가
커지게 되면, 이 차이를 이용해 이익을 얻으려는 차익 거래가 현물과
선물을 연계시켜 거래함으로써 가격의 괴리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선진 선물 시장의 경우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에 선행하는 정도는 5~10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선물과 현물 가격이 괴리되는 정도도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선물의 가격 예시 기능으로 인해 주식의 수요자와 공급자는 가장 효율적인
시점에 거래할수 있으며 주식의 미래 가치가 현재 시점에 적절히 평가되어
현재 가격에 반영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주식시장의 형성에 도움을
주게 된다.

< 끝 >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