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술회의] '북한의 경제개혁' .. 주제발표 <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원장 이영선 교수)은 14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사회주의국가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경제개혁(The System Transformation
of Transition Economics Europe, Asia, and North Korea)이라는 주제 아래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다음은 이 학술회의에서 발표된 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 편집자 >>
=======================================================================
[[ 사회주의 개혁이 준 교훈 ]]
이두원 < 연세대 교수/경제학 >
현재 과거 중앙집권적인 사회주의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소위 "이행경제"는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약 30여개국에
달하는 실정이다.
이들 이행경제는 성공적인 체제전환을 위하여 가격 자유화, 사유화,
대외무역 자유화, 그리고 시장기구의 설립 등 개혁정책을 수행하여야 하며
각 이행경제는 이러한 개혁의 실시와 이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을 실시하는 데에는 크게 두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그 하나는 중국식의 점진적이고 부분적인 방법이며 또 하나는 동구의
체코나 폴란드식의 급진적이고 전면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양자중 어느 방법이 더 우월하냐의 판단은 현재 개혁이 진행중이며 각기
장단점이 있다는 점에서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볼수 있으나 각 이행경제가
왜 각기 다른 유형의 개혁을 택하게 되었는지의 원인을 분석해 보는 작업은
앞으로 북한의 경제개혁을 유추하는데 꼭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북한보다 앞서 개혁을 시작한 사회주의 경제의 선례로 볼 때 개혁을
시작할 당시의 정치.경제적 초기조건이 개혁의 유형을 결정짓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정치적으로 기존 정권이 유지되고 있었으며 군부나 관료 등 기득권층의
이해를 무시할 수 없었던 중국은 기존의 사회주의경제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새로운 민간부문의 양성을 점진적으로 시도하는 부분적인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반면 정치적으로 이미 새로운 정권 아래 기득권층의 이해가 적었던 동구의
경우 보다 급진적인 개혁을 실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요인 못지 않게 개혁의 유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은
그 나라의 경제구조와 경제의 발달 정도이다.
개혁을 시작할 당시 전체인구의 70% 이상이 농민이었던 중국은 농촌의
만연된 유휴노동력의 활용으로 기존 국영기업을 유지시킨 채 새로운 민간
부문을 형성시킬 수 있었으나 농촌인구가 전체의 20% 수준이었던 동구의
경우 이러한 유휴노동력이 존재치 않았다.
또한 고도로 산업화된 동구는 각 산업간에 연계성이 높았으며 이러한 높은
연계성으로 인하여 어느 한 부문만을 시장경제로 개혁한 채 다른 부문을
기존 사회주의체제로 남겨 놓는 식의 부분적인 개혁은 처음부터 그 효과를
거둘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각국의 경험에서 유추하여 볼 때 북한의 경우 기존정권의 최대
관심이 정권유지일 것이라는 가정 아래 북한개혁의 초기형태는 중국식의
부분적이고 점진적인 유형이 될 것이다.
현재 북한이 수행하고 있는 나진.선봉의 선별적 개방과 일부 개인 상행위의
허용 등은 바로 이러한 개혁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상대적으로 높은 산업화 수준과 북한정권의 중앙집권적인
의사결정구조, 그리고 남한을 위시한 외부로부터의 도움 가능성 등의 요인
으로 인하여 일단 개혁.개방이 어느정도 수준으로 진행될 경우 그 파급속도
는 중국에 비하여 훨씬 빠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겠다.
북한이 현재의 경제난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기 내부에서 찾아 가까운
시일내에 개혁과 개방을 추진할 때 다음과 같은 조언을 할 수 있겠다.
먼저 초기조건이 개혁의 유형을 결정지을 것이나 개혁의 성공은 국가독점의
폐지와 경쟁을 촉진시키는 올바른 정책의 선택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하여 농촌부문에서의 민간생산과 판매를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개혁정책은 일관성과 각 조치 사이의 상호보완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불가피하게 맞이하게 될 개혁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이와같은 일관성을
상실치 말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정을 내릴수 있는 것은 결국 북한의 지도층밖에는 없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개혁비용이 가중되리라는 인식 아래 북한은 변화를 두려워
하지 않는 용기로 다른 사회주의경제의 개혁에 동참하기를 권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16일자).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원장 이영선 교수)은 14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사회주의국가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경제개혁(The System Transformation
of Transition Economics Europe, Asia, and North Korea)이라는 주제 아래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다음은 이 학술회의에서 발표된 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 편집자 >>
=======================================================================
[[ 사회주의 개혁이 준 교훈 ]]
이두원 < 연세대 교수/경제학 >
현재 과거 중앙집권적인 사회주의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소위 "이행경제"는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약 30여개국에
달하는 실정이다.
이들 이행경제는 성공적인 체제전환을 위하여 가격 자유화, 사유화,
대외무역 자유화, 그리고 시장기구의 설립 등 개혁정책을 수행하여야 하며
각 이행경제는 이러한 개혁의 실시와 이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을 실시하는 데에는 크게 두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그 하나는 중국식의 점진적이고 부분적인 방법이며 또 하나는 동구의
체코나 폴란드식의 급진적이고 전면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양자중 어느 방법이 더 우월하냐의 판단은 현재 개혁이 진행중이며 각기
장단점이 있다는 점에서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볼수 있으나 각 이행경제가
왜 각기 다른 유형의 개혁을 택하게 되었는지의 원인을 분석해 보는 작업은
앞으로 북한의 경제개혁을 유추하는데 꼭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북한보다 앞서 개혁을 시작한 사회주의 경제의 선례로 볼 때 개혁을
시작할 당시의 정치.경제적 초기조건이 개혁의 유형을 결정짓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정치적으로 기존 정권이 유지되고 있었으며 군부나 관료 등 기득권층의
이해를 무시할 수 없었던 중국은 기존의 사회주의경제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새로운 민간부문의 양성을 점진적으로 시도하는 부분적인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반면 정치적으로 이미 새로운 정권 아래 기득권층의 이해가 적었던 동구의
경우 보다 급진적인 개혁을 실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요인 못지 않게 개혁의 유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은
그 나라의 경제구조와 경제의 발달 정도이다.
개혁을 시작할 당시 전체인구의 70% 이상이 농민이었던 중국은 농촌의
만연된 유휴노동력의 활용으로 기존 국영기업을 유지시킨 채 새로운 민간
부문을 형성시킬 수 있었으나 농촌인구가 전체의 20% 수준이었던 동구의
경우 이러한 유휴노동력이 존재치 않았다.
또한 고도로 산업화된 동구는 각 산업간에 연계성이 높았으며 이러한 높은
연계성으로 인하여 어느 한 부문만을 시장경제로 개혁한 채 다른 부문을
기존 사회주의체제로 남겨 놓는 식의 부분적인 개혁은 처음부터 그 효과를
거둘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각국의 경험에서 유추하여 볼 때 북한의 경우 기존정권의 최대
관심이 정권유지일 것이라는 가정 아래 북한개혁의 초기형태는 중국식의
부분적이고 점진적인 유형이 될 것이다.
현재 북한이 수행하고 있는 나진.선봉의 선별적 개방과 일부 개인 상행위의
허용 등은 바로 이러한 개혁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상대적으로 높은 산업화 수준과 북한정권의 중앙집권적인
의사결정구조, 그리고 남한을 위시한 외부로부터의 도움 가능성 등의 요인
으로 인하여 일단 개혁.개방이 어느정도 수준으로 진행될 경우 그 파급속도
는 중국에 비하여 훨씬 빠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겠다.
북한이 현재의 경제난의 원인을 외부가 아닌 자기 내부에서 찾아 가까운
시일내에 개혁과 개방을 추진할 때 다음과 같은 조언을 할 수 있겠다.
먼저 초기조건이 개혁의 유형을 결정지을 것이나 개혁의 성공은 국가독점의
폐지와 경쟁을 촉진시키는 올바른 정책의 선택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하여 농촌부문에서의 민간생산과 판매를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개혁정책은 일관성과 각 조치 사이의 상호보완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불가피하게 맞이하게 될 개혁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이와같은 일관성을
상실치 말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정을 내릴수 있는 것은 결국 북한의 지도층밖에는 없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개혁비용이 가중되리라는 인식 아래 북한은 변화를 두려워
하지 않는 용기로 다른 사회주의경제의 개혁에 동참하기를 권한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