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레슨 하이라이트] (645) 쇼트퍼팅을 과감하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롱퍼팅과 쇼트퍼팅 중 어느 것을 더 과감하게 쳐야 할까.
프로들은 쇼트퍼팅을 더 과감하게 치는 반면 아마추어들은 그 반대이다.
아마추어들은 7m이상의 롱퍼팅을 한번에 집어넣으려 욕심을 부린다.
그 대신 60cm 이내의 쇼트퍼팅은 지나칠까봐 조마조마하게 친다.
결과는 뻔하다.
과감하게 친 롱퍼팅은 홀을 훨씬 지나쳐 3퍼팅하기 일쑤고 소심하게
친 쇼트퍼팅은 안타까움만 남긴채 홀에 못미친다.
프로경기를 보면 쇼트퍼팅일수록 과감하게 친다.
"저러다가 홀컵을 지나치면 어떨까"하는 우려가 들 정도다.
아마추어들도 쇼트퍼팅일수록 적극적으로 쳐야 한다.
홀 중앙 뒷면을 목표로 강하게 쳐주어야 성공률이 높다.
쇼트퍼팅은 특히 브레이크를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좀 세다싶게 쳐주면 겨냥한대로 가게 마련이다.
쇼트퍼팅을 약하게 치면 홀에 못미칠 위험뿐만 아니라 방향도 왼쪽
(풀)이나 오른쪽 (푸시)으로 벗어날 가능성이 높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18일자).
프로들은 쇼트퍼팅을 더 과감하게 치는 반면 아마추어들은 그 반대이다.
아마추어들은 7m이상의 롱퍼팅을 한번에 집어넣으려 욕심을 부린다.
그 대신 60cm 이내의 쇼트퍼팅은 지나칠까봐 조마조마하게 친다.
결과는 뻔하다.
과감하게 친 롱퍼팅은 홀을 훨씬 지나쳐 3퍼팅하기 일쑤고 소심하게
친 쇼트퍼팅은 안타까움만 남긴채 홀에 못미친다.
프로경기를 보면 쇼트퍼팅일수록 과감하게 친다.
"저러다가 홀컵을 지나치면 어떨까"하는 우려가 들 정도다.
아마추어들도 쇼트퍼팅일수록 적극적으로 쳐야 한다.
홀 중앙 뒷면을 목표로 강하게 쳐주어야 성공률이 높다.
쇼트퍼팅은 특히 브레이크를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좀 세다싶게 쳐주면 겨냥한대로 가게 마련이다.
쇼트퍼팅을 약하게 치면 홀에 못미칠 위험뿐만 아니라 방향도 왼쪽
(풀)이나 오른쪽 (푸시)으로 벗어날 가능성이 높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