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3일 북한무장공비 침투사건과 관련, "잠수함과 군인"을 즉각
송환해 달라는 북한측 요구를 묵살키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날 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등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잇달아 열어
북한측이 동해안 북한잠수함 침투사건을 "훈련도중 기관고장에 의한 좌초
사고"라고 주장하며 "잠수함과 군인" 송환을 요구한 것은 무력도발이라는
사건의 본질을 축소은폐하기 위한 기만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정부의 한
당국자는 전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 담화내용은 잠수함이 긴급피난했다는 주장이나 이들은
긴급사태에 대한 사전통지 또는 적절한 표식을 하지도 않았을 뿐만아니라
상륙후에도 이같은 의사표시를 하지 않았으므로 긴급피난으로 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동해안 해류의 흐름만 보더라도 원산 앞바다에서 좌초된 배가
강릉앞바다로 떠내려 온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북한 인민무력부
대변인의 담화는 일고의 가치조차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국민생활의 안정을 위해 무장공비 잔당소탕에 전력을 기울이는
한편 생포된 무장공비 이광수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 이번 사건의
진상과 북한무장공비의 침투목적 및 계획 등을 철저히 규명한 뒤 적절한
대응책을 강구키로 했다.

북한은 지난22일 인민무력부대변인 명의로 발표한 담화를 23일 중앙통신을
통해 내보냈다.

북한은 이 담화에서 잠수함이름 승무원수 등을 정확히 밝히지 않은채 이번
사건을 좌초사고로 규정하며 잠수함과 군인의 송환을 이례적으로 요구했다.

<허귀식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