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항 민자유치사업 추진일정이 확정됨에 따라 그동안 이 사업에 관심을
가져온 재계의 발걸음에도 가속이 붙기 시작했다.

현재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에 참여의향서를 제출해 놓고 있는 업체는 모두
19개 업체.

해양부는 민자사업자 선정원칙과 관련, 가능한 참여의 폭을 넓혀 사업
추진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방침을 세워둔 상태다.

총사업비 5조5천억원에 민자사업비만 3조8천억원이 넘는 대형 국책사업
이어서 어느 기업도 단독으로 사업을 시행하기는 어려운 만큼 여러 업체가
컨소시엄형태로 사업에 참여하게 될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관련업계에서 이미 "단일 그랜드 컨소시엄"구성에 들어간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랜드 컨소시엄의 추진주체는 삼성그룹으로 삼성은 현대 LG 대우 한진
동아그룹으로 짜여진 6개 그룹사 컨소시엄의 주관사이기도 하다.

이 대기업그룹 컨소시엄은 건설 해운 하역등 항만관련업체들을 계열사로
두고 있어 그룹사간 지분율구성이 어떻게 되느냐가 관심사일뿐 민자사업자
지정은 시간문제라는게 업계와 정부관계자들의 대체적 시각이다.

출자자로서 25~30% 지분율범위내에서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라며 "해운
업계든 하역업계든 사업참여를 희망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문호를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측은 시설사업기본계획에 명시된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의 참여문제에
대해서는 "5~10%로 예상되는 참여지분 범위내에서 권한을 주장한다면
컨소시엄에서 배제할 이유가 없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이같은 움직임속에 고려종합운수 (주)동방 동부고속 세방기업등으로 구성된
하역사 컨소시엄은 항만운영권보장방안과 지분참여율등을 놓고 대기업그룹
컨소시엄과 활발한 접촉을 벌이고 있다.

또 한진해운 조양상선 고려해운 동남아해운 흥아해운등으로 구성된 해운사
컨소시엄이 선석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지분참여방안을 강구중이며
극동건설 금호건설 포스코개발 대림산업 롯데건설등 사업의향서를 제출한
건설업체들도 그랜드컨소시엄 참여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 김삼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9월 25일자).